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2년간 수행된 민족지적 연구를 기반으로, 환자가 임종 때까지 머물 수 없고 오히려 임종을 위해 떠나야만 하는 상급종합병원에서 환자의 이동이 말기돌봄의 실천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으며 무슨 의미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인지 탐구한다. 암을 진단받은 환자들은 정치경제와 도덕경제의 교차지점에서 생성된 “서울의 큰 병원”으로 몰려들지만, 말기로 전환된 뒤에는 상급종합병원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동해줄 것을 요청받는다. 환자를 전원시켜야 하는 명령과 보낼 수 있는 경로는 의료전달체계와 병원의 규칙에 의해 규정되어 있지만, 이 관료적이고 행정적인 명령은 호스피스•완화의료팀에 의해 도덕적인 임무로 변환된다. 각 경로는 호스피스•완화의료팀이 생각하는 ‘좋은 죽음’의 요소들 –편안한 분위기에서, 고통 없이, 소중한 사람들과 시간을 보낼 수 있는-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따라 평가되었다. 호스피스와 집이 가장 바람직한 경로였고, 중환자실은 가급적 보내지 않아야 하는 경로였다. 한편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팀은 제도적 요구(병원 규칙, 법, 기술 제한과 기술 가능성)를 충족시켜야 했지만 또다른 한편으로는 협상과 수선하기(tinkering)를 통해 환자 개개인, 가족 개개인의 독특하고 이질적인 경험과 소망에 조응하고자 한다. 이 어려운 과제를 이루기 위해 호스피스•완화의료팀은 환자와 가족들의 경제적•관계적•종교적•지리적 조건들, 말기의 몸이 필요로 하는 기술의 정도, 각 경로에 개입하는 법뿐 아니라 말기돌봄에 종사하는 다른 의료인들에 대한 염려와 한국의 말기돌봄 구조의 한계와 지속가능성까지 포함되었다.


In South Korea, the place of dying has been diversified over the last two decades, currently ranging from homes to hospices. Drawing upon a two-year-long period of ethnographic research in a “terminal-cancer ward” in a tertiary hospital in South Korea, I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transfer of patients emerges as a form of care. The physicians and nurses hierarchize the places of death along with the criteria of a good death. The criteria include whether or not a patient is able to spend the last time with her family: hospices and homes are ranked at the top as most desirable, while ICUs rank at the bottom, and the cancer ward in the tertiary hospital is considered a second-best plan. By tracing the attuned practices of the medical staff to find the best place of death for the individual patient, I argue that arranging the transfer of a patient to another place is an essential part of care offered by the medical staff who work in a highly bureaucratic medical instit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