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의 민속문화 안에서 생애 말년의 고통이 어떻게 인식되고 서사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노환의 개념은 병이면서 병이 아닌 것으로 정의된다는 점에서 노년을 다루는 데 있어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을 구분하여 후자를 의학적 처치의 대상으로 삼는 서구 현대의학과는 다른 지향을 함축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의 현지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지역 주민들의 고통에 대한 인식론적 지형 안에서 노환이 어떠한 범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그들의 일상적 담화에서 노환의 관념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노환이 고통을 실체화하는 병 개념과 달리 고통을 생 안으로 흡수하도록 하는 개념임을 확인하고, 그것이 함축하는 명제가 일상에서 관용표현이나 농담 등으로도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노환이 고통을 생 자체에 내재한 것으로 서사화하고, 나아가 삶과 죽음을 연결하도록 하는 관념적 장치로 자리하고 있음을 밝힌다.


In this study, I explore the way in which suffering in later life has been perceived and narrativized in Korean folk culture. The concept of nohwan (老患), defined as both illness and not, conveys different implications from that of modern Western medicine which separates the normal from the pathological and posits the latter as a target of medical treatment. Based on the data from my fieldwork in Jeongseon, Gangwon Province, I examine the category of nohwan within the epistemological realm of suffering and seeks to determine how the idea of nohwan is expressed in daily discourse. The concept of nohwan, unlike the concept of byeong (病), enables the incorporation of suffering within life; the concept is expressed in the forms of idiom and joking that take place in everyday life. This study shows that nohwan is an ideational tool used to narrativize suffering as innate in life itself, and also used to connect life and de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