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인 이슈로 떠오르는 유아코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모색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인재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구성주의 관점에서 유아코딩교육 및 국내 유아코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레고 놀이가 차지하는 역할에 대해고려하였으며, 향후 유아교육의 방향에 대해 규명해 보았다. 결과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국내 유아코딩교육이 유아가 능동적인 주체가 되지 못하고 있으며, 유아코딩 교구는 주로창의적 사고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고, 유아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다는 것이 드러났다. 결론 이를 위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가 필요로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갖추는 즉, 팀별 상호작용과 협동을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학습자 중심의 놀이 도구로서 ‘레고 놀이’가 융합형 유아코딩교육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는 점을 밝히는바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which is emerging as a global issue, we sought the direction in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hould move forward and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talent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Method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and domestic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was identified, the role of Lego play was consider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investigated. Results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domestic infant coding education is not an active subject for infants, and infant coding teaching tools are mainly focused on creative thinking, and teacher competence is important to induce infant interest.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Lego Play as a learner-centered play tool has the digital literacy skills require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t the same time, it has a very important function as a convergence infant coding education that develop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eam interaction and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