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한국 사회 공정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구하기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2개 대학생 총 102명의 성찰보고서를 기반으로 CQR-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년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 영역, 8개 범주, 21개 하위범주로 드러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이 인식한 공정의 의미는 ‘내게 너무 먼 공정’, ‘공정의 두 가지 갈래’ 등의 범주로 드러났다. 전자는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개념과 완벽한 균형의 의미를, 후자는 절차적 합의와 투명성, 기회의 평등과 능력주의 등을 의미화했다. 둘째 공정 경험의 희소성은 검증된 제도와 정책과 사회적 약자배려를 포함하여 ‘절대다수의 인정’으로, 부족한 공정에 대한 기억과 자기만의 기준에 맞는 기회와 절차를 포함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등의 범주로 드러났다. 셋째, 불공정 경험의 소환은 ‘나의 성장속 불공정 경험’, ‘사회적 불공정 이슈의 영향’ 등의 범주로 전자는 어릴 때 기억에서 입시, 대학생활과 대학 밖의 경험으로, 후자는 차별과 권력 남용에 대한 경험과 공격, 방어의 역차별 담론을 의미화했다. 넷째, 변화를 위한 제언은 ‘나의 실천’과, ‘사회 공공성 강화’ 등의 범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성찰보고서 속에 담긴 공정에 대한 의미 규정과 이들이 이와 같은 견해를 갖게 된 이유와 과정을 공정과 불공정에 대한 경험을 통해 광범위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의 시각에 담긴 공정성 담론의 모순, 그 특징과 한계가 무엇이며, 공정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어떤 대안을 선택하는지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래에 청년세대가 이끌어갈 공정 담론의 긍정적 역할을 기대하며 중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Korean social fairness in the younger generation by apply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CQR-M) based on the reflection reports of 102 students from two four-year university courses in Seou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the young people revealed 4 areas, 8 categories, and 21 subcategories. The specific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fairness as perceived by young people included ‘fairness too far from me’ and ‘two branches of fairness’. Second, the scarcity of the youth’s fair experience was revealed as ‘absolutely majority acknowledgment’ and ‘extremely personal’ including memories of insufficient process and opportunities and procedures that meet their own standards. Third, the recall of unfair experiences of young people consisted of categories such as ‘unfair experiences in my growth’ and ‘the influence of social unfair issues’. Fourth, the suggestions for change presented by young people were revealed in the categories of ‘my practice’ and ‘social publicness enhanc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fairness in the reflection reports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e reasons for the same and also extensively evaluated the fairness of their views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fairness and unfairness. Through this, we examined the contradictions of discourses on fairness from the youth’s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and the alternatives chosen to move toward a fair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expect a positive role in the future discourses on fairness in which the younger generation will participate. We also suggest some important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