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 한·미 양국의 전략적 전망이 이전보다 더 일치된 것처럼 보이고, 북핵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한·미·일 3국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모멘텀이 더 커진 반면, 핵협상의 진전 및 북한의 궁극적인 비핵화에 대한 도전과제는 특히 올해 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크게 증가했다. • 첫째, 북한 비핵화와 외교적 관여에 대한 한·미의 관심 부족이 협상 진전에 가장 큰 걸림돌로 남아 있다. • 둘째, 중국이 미국의 “포위”에 맞서는 데 골몰해 있고 평양을 압박하거나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들이기 위해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으려는 중국의 소극적 태도는 북한에 대한 외교와 억제력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중국이 미국과의 장기적 세력경쟁을 염두에 두고 동맹국 육성을 우선시하는 것은 북한을 보호하려는 중국의 유인을 강화하고 잠재적으로 두 국가 간의 안보 유대를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북한과의 외교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2차 제재를 포함한 더 강력한 제재가 중국의 대북 압박을 가중시킬 가능성은 낮다. 세계적 분노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행된 전례 없는 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모스크바를 비난하거나 압력을 가하기를 거부한 것이 단적인 사례다. 중-북, 중-러 군사협력 확대 가능성도 예의주시해야 한다. • 셋째, 러시아, 중국, 북한이 제기하는 안보 도전이 증가함에 따라 동맹국들이 적대국에 대한 억제력의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나아가 군비통제 및 비확산의 진전보다는 글로벌 핵 확장 및 핵 다변화가 이뤄지는 전반적인 추세 속에서, 이러한 상황은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전략적 환경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 넷째,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내부적 정치 분열, 인플레이션, 전염병 관련 문제와 같은 심각한 국내 도전과제들에 이르기까지 여타의 우선적 과제들이 경쟁관계에 놓이면서, 북한 비핵화는 남·북한을 제외한 다른 핵심적 이해당사자들의 관심사에서 우선순위가 더욱 내려가고 있다. • 요컨대, 핵협상을 진전시키기 위한 조건은 극도로 불리하다. 한반도의 무력충돌을 위협하는 위기, 핵 사고 또는 북한 전략적 우선순위의 완전한 전환 등을 제외하면, 북핵 도전은 단기에서 중기적으로 글로벌 의제에서 뒷전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높다. • 이러한 도전적 상황에서 미국, 한국 및 기타 ‘뜻을 같이 하는’ 파트너들은 한반도의 포괄적 평화의 진전을 위한 노력을 복잡하게 만드는 중-북 군사 관계의 추가적인 공고화를 방지하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 북한과 외교, 경제, 안보 협력의 문을 열어두는 것은 중국과의 긴밀한 동맹이 북한의 유일한 전략적 선택이 아니라는 점을 북한 지도부에 알리는 데 중요할 것이다. • 미국, 한국 및 기타 동맹국 간의 협력은 극명하게 분열된 세계 무대로의 악화를 방지하고, 중국과 지속가능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며, 핵확장을 장려하는 현재 추세의 반전을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강대국 역학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거시적 역학관계는 북한과의 협상 전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북핵 문제는 억제력과 군사적 조치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기 때문에 북한을 겨냥한 공동의 억제력 강화에 대한 동맹국의 초점이 중요하지만 동시에 북한과 외교적 행보의 진전과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중단 가능성이 희박하고, 중·단기적으로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위기고조 가능성을 감안할 때 현시점에서 위기관리와 위험 경감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베이징을 비롯한 주요 이해당사자들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전략적 위험 감소를 위한 정치적, 군사적 교류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공식, 트랙 1.5 및 트랙 2 수준에서 추구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이러한 과도기에 북한의 참여를 포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 While Washington and Seoul seemed more aligned than before on their strategic outlooks, and there is greater momentum for greater trilateral coordination among the U.S., ROK, and Japan to address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he challenges for advancing nuclear negotiations and working toward the ultima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since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earlier this year. • First, North Korea’s lack of interest in denuclearization and diplomatic engagement with Seoul and Washington remain the greatest obstacle to advancing negotiations. • Second, China’s preoccupation with countering U.S. “encirclement” and its unwillingness to pressure Pyongyang or otherwise use its influence to bring Pyongyang to the negotiating table severely hamper both diplomacy and deterrence vis-a-vis North Korea. Beijing’s prioritization of cultivating allies as it looks toward long-term competition with the United States reinforces China’s incentives to shield North Korea and may potentially lead to increased security ties between the two states, which would further complicate diplomacy with North Korea. Moreover, stronger sanctions, including the use of secondary sanctions, are unlikely to spur greater Chinese pressure on North Korea. China’s refusal to censure or otherwise pressure Moscow despite global outrage and an unprecedented sanctions regime implemented since the Russian invasion of Ukraine is a case in point. The potential for greater China- DPRK, and China-DPRK-Russian military cooperation must be watched closely as well. • Third, greater allied focus on enhancing deterrence vis-à-vis adversaries amidst growing security challenges posed by Russia, China and North Korea and the overall trends of global nuclear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rather than arms control and the advancement of nonproliferation, further muddies the strategic environment for denuclearizing North Korea. • Fourth, other competing priorities, from the war in Ukraine to serious domestic challenges, such as internal political division, inflation, and pandemic-related woes, have pushe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own the list of concern for key stakeholders except for perhaps the two Koreas. • In short, the conditions for advancing nuclear negotiations are extremely unfavorable. Barring a crisis that threatens kinetic escal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 nuclear accident or a complete shift in Pyongyang’s strategic priorities, the North Korean nuclear challenge is likely to take a backseat on the global agenda in the short to medium term. • Amid these challenging developments,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other like-minded partners should work together to prevent the further consolidation of China-North Korea military ties which will complicate efforts for the advancement of a comprehensi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Keeping the door open to diplomatic, economic and security cooperation with Pyongyang will be critical for signaling to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hat closer alignment with China is not their only strategic option. • Cooperation among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other allies will also be vital for shaping broader great power dynamics, including preventing the slide toward a starkly divided global arena, establishing a sustainable working relationship with China and reversing current trendlines that incentivize nuclear expansion over arms control and nonproliferation, as these macro dynamics directly impact the prospects for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 The growing allied focus on strengthening joint deterrence vis-à-vis North Korea, while vital, should be simultaneously pursued in conjunction with advancing a diplomatic track with Pyongyang as the North Korean nuclear challenge cannot be solved through deterrence and military measures alone. Crisis management and risk reduction should be prioritized at this time given the dim prospects for halting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in the immediate future, and the potential for military escal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short to mid-term. Fortunately, there is recognition among key stakeholders, including Beijing, that political and military exchanges for strategic risk reduction are necessary given heightening tensions in the Indo- Pacific. Such efforts should be pursued at the official, track 1.5 and track 2 levels and aim to ultimately include North Korean participation in this interim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