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사의 실시간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육아종합지원센터 교육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비대면 교육 만족도, 교육효과, 교사효능감문항 설문을 2022년 3월 11일부터 3월 24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이상값을 제외한 202명의 결과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차이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실시간 비대면 교육만족도와 교육효과, 교사효능감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실시간 비대면 교육 참여횟수는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시간 비대면 교육만족도, 교육효과, 교사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시간 비대면 교육만족도와 교육효과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실시간 비대면 교육의 높은 만족도와 교육효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효율적인 보육교직원 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 필요에 실증적 함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education effect by satisfaction level of untact real-time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executed by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with mediacy of teacher’s efficacy and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in managing education program by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Method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The survey for satisfaction level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education effects, teacher’s efficacy was performed from 11 March to 24 March in 2022. Excluding some outlying data, 202 sample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and data analyzing tool was SPSS WIN 22.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Results First, satisfaction level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education effect and teacher’s efficacy shows high position. Second, among sever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 number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increases their efficacy for education. Third, between satisfaction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education effect, and teacher’s efficacy, statical correlation was verified. Fourth, relation between real-time untact education satisfaction and education effect, teacher’s efficacy functions as a mediating parameter. So, plan or alternative for increasing teacher’s efficacy is required.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high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s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at the Support Center Childcarer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Thi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childcare teachers' education at the Support Center Childcarere, and there is an empirical implication in the need to improve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