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환기 조선은 유교 중심의 봉건 제도를 혁파하고 새로운 근대 문화를 수용하면서 변화를 모색했던 시기이다. 특히 조선은 망국의 과정에서 근대화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지 못한 한계 극복과 제국주의 식민 전략에 맞선 투쟁이라는 이중 난제를 안고 있었다. 그러나 전통의 해체는 오랫동안 양립했던 신분의 차별을 해소할 기회를 주었고, 양반유교와 평민유교의 차별적 지위를 수평적으로 무마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 논문은 역사소설 『토지』에 재현된 조선 말기와 일제 초기의 사례를 기반으로 양반유교와 평민유교의 융합과정을 검토해 본 실험적 연구이다. 신분의 해체와 더불어 양반과 평민의 이념 또한 해체와 통합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토지』는 유교를 기초로 기존의 권위와 질서를 유지하려는 완고한 양반 세력과 불교나 무속, 나아가 동학의 이념을 근간으로 변화하는 세대에 대응하려는 평민 세력의 신분적, 이념적 충돌과 화해의 과정을 개인의 서사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소설 전개는 조선의 격렬한 변화 과정과 일치한다. 왜냐하면 이 소설의 저자는 전환시대 조선의 역사를 소설의 형식으로 재현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서 전환기 조선 역사는 불행한 식민지 역사가 아니라 이념 재창출의 역사라는 관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말하자면 도리와 배려의 유교적 이념과 영성과 교감의 전통 종교 이념을 융합한 평민 중심의 민족 이념 생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전통은 해방을 지나 오늘날까지 그 위력이 유효하다.


The transition period Joseon was a period in which the feudal system centered on Confucianism was overthrown and changes were sought while embracing a new modern culture. In particular, Joseon faced the double challenges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modernization in the process of exile and fighting against the imperialist colonial strategy. However, the dismantling of tradition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solve the discrimination of status that had been compatible for a long time, and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to horizontally dispel the discriminatory status of yangban Confucianism and commoners Confucianism. This thesis is an experimental study examining the fusion process of yangban Confucianism and commoners Confucianism based on the cas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reproduced in the historical novel ‘Toji’. Along with the dissolution of social status, it is natural for the ideologies of nobles and commoners to also go through a process of dissolution and integration. ‘Land’ depicts the process of identity and ideological clash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stubborn yangban forces who want to maintain the existing authority and order based on Confucianism and the commoners who want to respond to the changing genera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Buddhism, shamanism, and even Donghak. It is explained with a focus on personal narratives. Thus, the novel development coincides with the drastic change process of Joseon. This is because the author of this novel reproduced the history of Joseon in the transitional era in the form of a novel. Through this, the late history of Joseon is explained not as an unfortunate history of colonialism, but as a process of re-creating a new ideology for our people. In other words, it explains the creation of a commoner-centered national ideology that fuses the Confucian ideology of morality and consideration with the traditional religious ideology of spirituality and sympathy. These traditions remain in effect even today after 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