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이 연구는 이북 김형직사범대학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강독≫ 교재에 나타난 표현 항목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Ⅱ장 1절에서 ≪조선어강독≫ 교재 출현 표현 항목 목록을 살펴보고, Ⅱ장 2절에서는 ≪조선어강독≫ 교재에 제시된 표현항목을 ‘언어 단위 차원, 형태 차원, 의미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고자 하였다. 결과 그 결과, Ⅱ장 1절에서 ≪조선어강독3≫(2013)에 비해 ≪조선어강독3≫(2016)에서 표현 항목이 훨씬 더 많이 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Ⅱ장 2절에서는 ≪조선어강독≫ 교재에 제시된 표현 항목을 ‘가) 언어 단위 차원, 나) 형태 차원, 다) 의미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론 이상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김형직사범대학의 고급 교재인 ≪조선어강독3≫(2013)과 ≪조선어강독3≫(2016)에 제시된 표현 항목의 실태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이북의 조선어교육에서의 표현 항목이 실제로 어떠한 방식으로유학생들에게 교수 학습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items in the textbook of ≪Reading Joseoneo≫ for foreigners at Kim Hyu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in North Korea. Methods In Chapter 2, 2.1 of the second chapter, we looked at the list of expression items for the appearance of textbooks, and in 2.2, we tried to analyze the expression items presented in the textbook of ≪Reading Joseoneo≫ by dividing them into ‘language unit dimension, form dimension, and meaning dimension’.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uch more expression items were presented in ≪Reading Joseoneo 3≫ (2016) than in ≪Reading Joseoneo 3≫ (2013). In 2.2,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expression items presented in the textbook of ≪Reading Joseoneo≫ into 1) language unit dimension, 2) form dimension, and 3) meaning dimension.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analys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xpression items presented in the high-level textbooks of Kim Hyung Jik University of Education, ≪Reading Joseoneo 3≫ (2013) and ≪Reading Joseoneo 3≫(2016).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scuss in detail how expression items in Nort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re actually taught and learned by internationa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