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5~6세기 고령지역 봉토분을 축조공정별로 주요 축조기법을 분류하고, 유형 설정을 통해 봉토분 축조의 전개양상과 그 배경을 살펴보았다. 7단계의 축조공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축조기법은 각각 위계성, 시간성, 공간성을 나타낸다. 이 중 봉토분의 특징을 가장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위계성’을 기준으로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 기존 편년안을 토대로 5기의 시기 설정을 통해 고령지역 봉토분의 축조기법의 전개양상과 그 배경을 알아보았다. 봉토분은 위계별로 묘제, 축조기법 등이 발전해 가면서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가장 높은 위계의 Ⅰ유형은 능선 말단부에서 능선을 따라 입지가 이동하면서 축조되고, 5세기 후엽 이후에 일정 간격으로 조성되었다. 묘제도 주·부곽식 수혈식에서 횡혈식으로, 구조도 목곽에서 석곽으로 발전하였다. 또 Ⅰ·Ⅱ유형은 부곽과 순장곽의 배치도 일정한 패턴으로 변화하는데, 반면 Ⅲ·Ⅳ유형은 주곽과 순장곽이 나란히 배치되는 정형성을 보이는 등 차이가 나타난다. 5세기 후엽의 44호분을 기점으로 최고 위계를 가진 봉토분은 일정한 묘역을 가지며 입지가 정형화되고, 규모와 축조기법에서도 하위 위계의 봉토분보다 두드러진 차이를 보여준다. 또 일부 계층은 본관동고분군으로 옮겨 봉토분을 축조하는 양상도 확인된다. 6세기 중엽 이후로는 최상위 계층의 묘역이 고아동고분군으로 이동하면서 수혈식 묘제에서 횡혈식 묘제로 변화하는 등 급격한 사회변화를 맞이한다. 또 출토유물을 통해 고령지역 봉토분 축조집단은 신라, 백제, 왜 및 다른 가야 소국들과 교류 또는 대립하면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chniques and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mound tombs in Goryeong of the 5th and 6th centuries. Then Ⅰ looked at the development and background of construction of mound tombs. The major the techniques and method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tep 1~7 are represents the Hierarchy and space-time specific. Of these, four types were divided based on the ‘Hierarchy’ that most prominently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und tombs. In addition, the time to build the mound tombs was divided into 5 period and the development and background of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ound tombs in Goryeong. The reason behind the creation of the mound tombs are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and iron productivity after the 4th centuries. Along with Gyeongju and Changnyeong, it will build the earliest large-scale mound tombs in the Yeongnam region. It can be seen that it was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in order to become a center forces in Gaya after Southward Expansion of King Gwanggaeto. The mound tombs in Goryeong has different scale, locatio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depending on the hierarchy. This reflects the social stratification. In addition, relics from the mound tombs show that the group of people who built mound tombs in Goryeong developed by exchange or confrontation Silla, Baekje, Why(Japan) and the other Ga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