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송시열의 『계녀서』가 ‘시집살이 지침서’이자 ‘며느리 되기에 중점을 둔 전략서’의 성격을 가지면서 조선식 유교 젠더 규범을 성립시키는 데에 기여하였음을 밝혔다. 먼저 『계녀서』 저술의 텍스트적 배경을 밝히기 위하여 17세기 양반 여성 교육 서적들을 목록화 하였다. 또한 저술의 사회적 배경으로서 시집살이 문화가 서서히 실현되고 있었던 당시에 부부 간, 혹은 시가 사람들 간의 갈등과 시가라는 공간에서 여성이 겪는 고충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송시열은 시집살이 대비책을 딸에게 주면서 남자의 소학책처럼 여기고 체현해야함을 당부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는 단순히 여성이 시가 생활에서 지켜야 할 태도만을 정리하지는 않았다. 그는 시가 흥망에 미치는 여성 역할의 영향력을 설명하고 양가의 위계를 설정하는 등 딸에게 본인을 며느리로서 더 많이 인식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여 『계녀서』대로 실천해야함을 설득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계녀서』와 송시열이 『계녀서』를 집필하면서 참고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17세기 양반 여성 교육 서적들을 비교하였다. 구성뿐만 아니라 문장까지 대조하여 비교함으로써, 유교 문명권에서 형성․전파된 젠더 규범서와 『계녀서』의 상호텍스트성을 밝혔다. 이러한 작업으로 『계녀서』가 여성 교훈서의 구성을 수용하되, 내용만큼은 선별적으로 받아들인 결과 『계녀서』의 완성으로 실천성이 돋보이는 조선식 유교 젠더 규범이 성립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계녀서』에서 양반 여성이 시집살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특별히 내세운 규범은 첫째, 시가가 친가보다 높다는 양가의 위계 설정, 둘째, 남편을 따르되 서로를 손님처럼 대할 것, 셋째, 칠거지악 중에서도 투기와 多言 경계, 넷째, 가계 경영가로서의 면모를 지킬 것, 다섯째, 시가에서 새로이 맺을 인간관계 대비책이었다.


This paper defines the contribution of Song Siyeol’s Gyenyeoseo to the establishment of Joseon style Confucian gender norms as ‘a guidebook to patrilocality’ and ‘a strategy book focused on becoming a daughter-in-law’. First, 17th century educational books for aristocratic women were cataloged to determine the textual background of writing Gyenyeoseo. Also, in terms of the social context, marital conflicts or women’s conflicts with the in-law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in-laws were confirmed at the time when the culture of patrilocality was gradually taking place. Giving Gyenyeoseo to his daughter, Song Siyeol asked her to consider the guidebook to patrilocality equal to Sohak for men and embody its instructions. However, he did not simply list the living attitudes that must be observed by women at the in-law residence. He explained the influence of women’s role on the rise and fall of the in-law family and established the hierarchy between the two families to persuade her daughter why she should perceive herself more as a daughter-in-law than a daughter and practice the instructions in Gyenyeoseo. Next, intertextuality between Gyenyeoseo and writings of gender norms formed and propagated in the Confucian civilization was revealed by comparing the text of Gyenyeoseo with that of 17th century educational books for aristocratic women presumed to be quoted or referenced by Song in writing Gyenyeose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Gyenyeoseo incorporated the organization of instruction books for women, albeit selectively in content, and thus established Joseon style Confucian gender norms. In Gyenyeoseo, the norms underscored to ensure easy adaptation to patrilocality were:establishing the rank of the in-laws higher than one’s parents; following the husband but treating each other like guests; guarding against being jealous and loquacious among Chigoejiak (seven valid causes for divorce); maintaining the qualities as a household manager; and taking measures for building new personal relationships at the in-law res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