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일본 무도와 유학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그중에서도 『孟子』 ‘求放心’의 일본적 변용인 ‘心要放’의 고찰을 통해 일본 무도가 추구하고자 하는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일본 무도의 철학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유학의 수양론을 토대로 논의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일본 무도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수양의 목표와 철학적 의미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일본에 포로로 잡혀간 조선 선비 姜沆에 의해 조선의 퇴계학이 일본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를 통해 에도시대에는 유학을 관학으로 지정하고 仁義禮智는 무사들의 필수 덕목이 되었다. 상급 무사이자 관료들은 유학의 오륜을 통치의 이념으로 삼았다. 기존 무사도의 ‘忠’개념도 유학의 의리사상에 기반하여 君臣有義를 지키기를 강조하였다. 구체적인 유학의 수양론으로 무사들은 ‘敬’과 『孟子』의 ‘不動心’과 ‘求放心’을 받아들였다. 이것은 마음을 한 곳에 집중시켜 다른 곳으로 흩어지지 않게 하는 정신통일을 말한다. 그러나 다쿠앙(澤庵)은 맹자의 ‘구방심’은 낮은 단계의 수련법이고 더 높은 단계를 邵康節의 ‘心要放’이라 말하고 있다. 즉 마음을 붙잡아 두는 것보다는 ‘마음은 풀어놓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처럼 일본의 武道全書는 유학의 수양론을 받아들였으나 불교식으로 재해석하였다. 일본 무도는 기술과 심리 양 측면을 모두 중요시하는데, 특히 심리 방면에 중점을 둔다. 이것은 검술의 최고 경지는 마음과 검이 하나가 되는 것(心劍合一)을 말한다. 결국 일본 무도가 儒學의 철학적 기반을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平常心’이다. 이러한 동양철학의 유기체적 세계관 속에 내재해 있는 몸과 마음의 공부를 통해 무도는 좀 더 성숙한 인생관과 가치관을 확립시킬 수 있으며 삶의 조화를 획득할 수 있다. 무도란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고 바른 마음과 바른 자세로 병법의 참뜻을 몸에 익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Japanese martial arts and Confucianism. Among them,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that Japanese martial arts want to pursu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simyobang’(心要放), a Japanese transformation of the Mencius ‘gubangshim’(求放心). In order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martial arts, it should be discussed based on Confucian ‘Suyangron’(修養論,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the ultimate goal and philosophical meaning of Japanese martial arts can be approached more easily. In the Edo period(江戸時代; Edo jidai, 1603–1867), Confucianism was designated as a government study, and In-ui-ye-ji(仁義禮智) became an essential virtue for samurai. That was because Toegyehak(退溪學) of Joseon was introduced to Japan by Kang Hang (姜沆: 1567-1618), a Joseon scholar who was taken prisoner by Japanese during the Imjin War. Senior samurai and bureaucrats adopted the ‘Oryun’(五倫) of Confucianism as their ideology of government. In the pre-existing concept of ‘Chung’(忠, loyalty) of Musado(武士道, An ethical code of the samurai), keeping the ‘Kun-sin-yu-ui’(君臣有義) has been also emphasized based on the fidelity idea of Confucianism. As a specific study in Confucian ‘Suyangron’(修養論,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the samurai accepted ‘gyeon’(敬) and ‘bu-dong-sim’(不動心, unmoving mind) and ‘gubangshim’(求放心, re-discover a lost heart) in Mencius(孟子). It refers to mental unification that concentrates the mind in one place so that it does not scatter elsewhere. However, Dakuang(澤庵) says that Mencius gubangshim is a lower-level training method and a higher stage is Sogangjeol(邵康節)’s ‘simyobang’(心要放, relaxing the mind). In other words, he thought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lease the mind than to hold it tight. Thus, the Japanese version of Mudojeonseo(武道全書) accepted ‘ but reinterpreted it in a Buddhist style. Japanese martial arts emphasize both technical and mental aspect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mental aspect. This implies that the highest level of swordsmanship is that the mind and the sword become one. In the end, what Japanese martial arts ultimately pursue through the Confucianism is ‘composure’(平常心). Through the study of the body and mind inherent in the organic world view of Eastern philosophy, martial arts can establish a more mature view of life and values and achieve harmony in life. Martial arts is about giving your all and learning the true meaning of strategy with an upright mind and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