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조선 중 ‧ 후기 사회의 제도개혁에 대한 정치적 논의의 기틀을 마련한 율곡의 경장(更張)에 대한 이식을 중종 ‧ 선조실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리학을 근간으로 하는 유교의 예치(禮治)를 정치화한 조선왕조에서 경장에 대한 논의는 조선 중기 사회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 사림의 정계진출과 맥락을 함께 한다. 그리고 이것은 과거제를 통해 선발된 신진관료들의 정계진출이 보다 전문성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1564년(명종 19년) 호조좌랑(戶曹佐郞)을 시작으로, 1584년(선조 17년)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기까지 20여 년 동안의 관직생활 속에서 율곡이 역설한 변통(變通)의 경장(更張)은 신하의 직무능력을 적절하게 운용할 수 있는 군주의 정치적 자질에 관한 논의로 대변된다. 그리고 이것은 새로운 시대를 준비해야 하는 군주의 정치적 소명의식에 관한 내용인 동시에 시의(時宜)에 맞는 변통(變通)의 중요성을 역사의 필연성을 통해 강조한 율곡의 실증적 사고과정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율곡의 정치활동이 이루어진 시기에 해당하는 역사 기록물, 즉 중종, 선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율곡의 경장(更張)에 관한 논의를 검토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것은 율곡의 경장론이 갖는 의미를 역사적인 측면에서 고찰하는 것인 동시에 율곡의 실증주의적 사고가 정치화 되는 과정을 경장(更張)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찰하는 것이 된다.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Yulgok’s Gyeongjang(更張) that paves the way for political discussion of institutional reform during the middle and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Sillok(實錄) of Jongjong, and Sunjo. The discussion of Gyeongjang(更張) in the Joseon Dynasty where ritual politics(禮治) is politicized on a basis of Neo-Confucianism is closely linked with political sortie of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is also means that new bureaucrats selected by the gwageo system have more professionalism in terms of political sortie. In this perspective, Yulgok’s emphasis on Byeontong(變通) during his serve as a bureaucrat for 20 years from Hojojwarang(戶曹佐郞) in 1564 to Ijopanseo(吏曹判書) in 1584 represents a discussion of political qualifications of which one the king should attain when it comes to managing effectually a subject’s vocational skill. And it also involves with political vocation of the king who should prepare for the beginning of a new era, and at the same time with his positive idea that emphasizes through historical inevitability importance of Byeontong(變通) apposite to the very time.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not only review discussion of Yulgok’s Gyeongjang(更張) during the period of his political activity through documents such as historical writings ― the Sillok(實錄) of Jongjong, and Sunjo, but also analyze those meanings. These efforts are closely connec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Gyeongjang(更張) in terms of a historical aspect, and also the process of becoming his positivism politic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