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 불교음악의 역할과 소명을 제대로 알기 위해, 불교, 기독교 순 으로 제도권 음악 교육의 실태를 먼저 고찰하고, 미래 불교음악 교육의 방향성 에 대해 제언하였다. 불교는 현재 제도권의 종립학교가 총10곳으로, 불교음악이 교육되고 있는 곳은 실제 동국대학교가 유일하다. 반면 기독교는 총109개의 종립학교를 기반 으로, 교회음악 관련 개설 학교가 전국적으로 총20여개에 이른다. 비록 숫자가 모든 것을 뜻하지는 않지만, 세상과의 소통과 교감에는 차이가 분명 생길 수 밖에 없다. 이를 통해 불교음악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젊은 사람들은 제도권 교육의 공신력을 인정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 에, 이들과의 활발한 소통과 교감은 제도권 교육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불 교음악도 결국 미래 불교 인재를 위해서는 제도권 교육의 진출과 성장이 시급 하다. 둘째. 전통과 현대 불교음악 교육의 균형과 조화이다. 현재 전통이 거의 90% 이상 한국 불교음악의 입지를 차지하는데, 21세기는 전통 방식만으로는 포교와 그 영향력에 한계가 있다. 전통을 토대로 현대적 감각과 니즈(Needs)를 수용, 훈련하는 현대 불교음악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셋째. 현대 불교음 악은 이른바 실용음악과 다양하게 접목해야 한다. 앞으로 온텍트(Ontact) 시대 SNS 불교음악 콘텐츠 제작과 관련하여 컴퓨터, 온라인 관련 수업이 중요해져 야 하며, 불교 특유의 명상음악 같은 음악 치료 효과가 뛰어난 분야도 적극 발전시켜야 한다. 넷째, 따라서 세상과 소통 공감 능력이 뛰어난 불교음악 인재 양성이 시급하다. 다섯째, 대학에 이러한 인재 양성과 교육 커리큘럼이 체계 적으로 마련될 수 있는 이른바 ‘불교음악 연구센타’가 필요하다. 여섯째. 불교 음악은 스님과 일반대중이 함께 하는 교육 협업 시스템이어야 대중화, 현대화, 생활화가 진정 성공할 수 있다. 수행력과 덕목을 갖춘 스님들을 통해 일반 대 중들의 음악적 사명감, 자긍심, 신행의 중요성을 교육 철학(필수 과목)에 분명히 담아내야 한다. 그러면 일반대중들은 절로 불교음악의 저변 확대에 상생의 역 할을 하게 될 것이다.


For the purpose of properly understanding the role and calling of Korean Buddhist music, this essay considers the current state of institutionalized Buddhist and Christian music education and then offers suggestions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Buddhist music education. Currently, there are a total of 10 Buddhism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there is actually only one university that officially teaches Buddhist music. In contrast, there are 109 Christian universities in South Korea, twenty of which teach church music in some form. Through my analysis, I offer the following suggesting regarding the future direction of Buddhist music. First, young people tend to prefer publicly recognized institutions of education, and therefore, institutionalized education is intimately related with active communication with young people. Indeed, in order to nurture the future Buddhist talents of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dvance and develop Buddhist education. The second suggestion relates to balance and harmony within contemporary Buddhist music education. Currently, over 90% of Korean Buddhist music is traditional music; however,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 is a limit to how successfully traditional methods can advance the goals of propagating Buddhist teachings. Beginning from a foundation in tradition,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modern form of Buddhist music education that can accommodate contemporary needs and attitudes. Third, contemporary Buddhist music should be combined in various ways with applied music. Regarding the creation of Buddhist musical content in the so-called “ontact” age, computers and online instruction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particular genres of Buddhist music, such as meditation music, which has spectacular healing properties. Fourth, it is therefore urgent to nurture talented practitioners of Buddhist music who can communicate and emphasize with the world. Fifth, Buddhist music must be built on a system of educational cooperation that includes both monks and the public. This will enable Buddhist music to become successfully popularized and modernized; it will also enable to become a part of people’s everyday lives. With the assistance of monks, the public’s sense of duty related to music, pride,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 must be clearly reflected in education philosophy. In this way, the public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expanding the base of Buddhist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