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원불교에서는 소태산대종사의 ‘정토’관을 대체로 유심정토사상이라는 관점 에서 연구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근래 일부 학자들은 법신불 중심의 신 앙은 신앙성이 약하다는 점에서 보신불에 의한 ‘정토’ 관념을 적극 수용함으로 써 원불교의 신앙성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소태산의 ‘정법회상’이 정법·상법·말법으로 이어지 는 불교의 시간관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는 최근의 주장을 바탕으로, 소태산 의 ‘정토’관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성에 대해 주장했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소태산이 기존 불교의 정토를 보신불을 중심으로 한 서방정토의 희구였던 것 에 대해, 새 정법회상의 정토는 현실에서 정토를 직접 구현하는 ‘현실정토’를 추구했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소태산의 ‘정토’는 기존 불교의 유심정토사상이 가지고 있던 ‘정토는 오직 마음’에 있다는 관념적 ‘정토’와 차별화 되며, 보신불을 중심으로 한 서방 정토의 관념에서는 완전히 벗어나는 ‘현실정토’의 구현에 있다는 점이 그 특징 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러한 정토관을 중심으로 원불교학의 새 로운 방향성을 논해 갈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In the Won-Buddhism, the Sotaesan Daejongsa’s Pure Land thought has been researched from the perspective of Yushim Pure Land thoughts. Some modern scholars have actively accepted the ideology of Pure Land by Dharmakaya Buddha to strengthen the faith of Won-Buddhism as the religion focusing on the Dharmakaya Buddha has weak faith. So, in this paper,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newly recognize the Sotaesan’s Pure Land thoughts based on the recent argument that the Sotaesan’s Dharma Assembly was formed centering on the Buddhism’s thought on the time which is led to Jeongbeop, Sangbeop and Malbeop. Through this method, this paper showed that though Sotaesan pursued Western Pure Land focusing on the Sambhogakaya Buddha as the Pure Land of conventional Buddhism while the Pure Land of new Dharma Assembly puruses the ‘real Pure Land’ in which the Pure Land is directly realized in the real world. Accordingly, the Sotaesan’s Pure Land is different from the ideological Pure Land which argues that ‘Pure Land really is located at the mind only’ and which is the core ideology for the Yushim Pure Land of conventional Buddhism. It is also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 of ‘real Pure Land’ which is far away from Western Pure Land’s ideology focusing on the Sambhogakaya Buddha.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Won-Buddhism needs to go in new direction focusing on these Pure Land thou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