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글로벌 팬데믹, 기후 위기, 경제 위기, 난민 위기 등 지구적 위기에 직면한 오늘날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세계시민주의를 필요로 하지만, 오늘날 세계시민주의는 그 어느 때보다도 대중적 지지를 잃고 동력을 상실한 것처럼 보인다. 우익 포퓰리즘과 보호민족주의 정치가 새로이 얻고 있는 헤게모니는 세계시민주의를 추구하는 논의들이 공감받지 못하는 원인을 진단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냉전 해체와 세계화를 토대로 1990년대 이래 제기된 세계시민주의의 흐름들은 경계 없는 세계가 가능할 것으로 낙관했지만, 오늘날의 세계는 그러한 전망을 실현하는 데 실패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경제적 세계화와 세계시민적 민주주의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1990년대 이후 들불처럼 번진 세계시민주의의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세계시민주의의 자기반성을 촉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여전히 제기되는 세계시민주의의 요청을 어떻게 현재화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Faced with global crises such as global pandemic, climate crisis, economic crisis, and refugee crisis, we need ideas of cosmopolitanism more than ever. The hegemony which right-wing populism and protective nationalist politics are newly gaining raises the need to diagnose the reasons why discussions towards cosmopolitanism are not sympathetic. The new trends of cosmopolitanism that have been raised since the 1990s based on the dissolution of the Cold War and globalization were optimistic that a borderless world would be possible, but today's world has failed to realize that vision.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seeks to urge self-reflection on cosmopolitanism by critically examining the discussions that have spread like wildfire since the 1990s, focusing on the two axes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cosmopolitan democracy. In this way,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and present the possibility of cosmopolitanism in a new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