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효경언해>의 원간본인 만력본(1590)과 강희본(1666)에 나타나는 한자음 표기를 비교․검토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글로 표기된 한자어를 정리한 다음, 한자에 주음된 한자음과 한글로 표기된 한자어의 성모와 운모를 살펴보았다. 먼저 한자에 주음된 한자음의 경우, 상대적으로 만력본의 한자음이 강희본에 비해 정제된 모습을 보인다. 만력본에서는 日母를 ‘ㅿ’으로 표기하고 종성에 ‘ㆁ’을 사용한 반면, 강희본에서는 日母와 종성 ‘ㆁ’을 ‘ㅇ’으로 표기하였으나 종성에 ‘ㆁ’이 쓰인 용례가 적지 않게 나타난다. 또한 가령 ‘諸侯’의 경우 만력본에서는 일관되게 ‘諸져侯후’로 주음되었지만 강희본에서는 ‘諸져侯후, 諸졔侯후’가 모두 확인된다. 그러나 한글로 표기된 한자어의 경우는 만력본에서도 日母를 ‘ㅇ’으로 표기하였으며, 두 판본 모두에서 ‘뉴(同類), 태우(大夫)’ 등과 같이 음운 현상이 반영된 표기가 쓰인다. 끝으로 성조와 관련해서는 한어 중고음의 상성과 거성이 만력본에서 출현하는 양상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ino-Korean between Manryuk edition(printed in 1590) and Kanghee edition(printed in 1666) of Hyogyeong-eonhae. Firstly, in the case of Sino-Koreans which were marked right next to the Chinese character, Sino-Koreans in Manryuk edition are more refined than those in Kanghee edition. 日母 was marked as 'ㅿ', and 'ㆁ' was used for final consonant in Manryuk edition, On the other hand, 日母 and final consonant 'ㆁ' are marked as 'ㅇ' in Kanghee edition. However, there are many examples in which the final consonant 'ㆁ' was wirtten as 'ㆁ' in Kanghee edition. Secondly, in the case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Korean, 日母 was also marked as 'ㅇ' in Manryuk edition and in both editions, examples reflecting phonological phenomena appeared such as '뉴(同類), 태우(大夫)'. Finally, regarding the tone, we discussed the appearance patterns of 上聲 and 去聲 of Ancient Chinese in Manryuk e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