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 연구에는 빈공간이 존재한다. 중국은 정부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 아래 디지털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변화는 디지털인문학 분야에 그대로 적용되어 동양고전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성과를 만들어 내었다. 한국과 중국은 예부터 한자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다양한 문화를 공유하고 있다. 동양고전과 관련된 중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에 대한 이해는 우리의 동양고전 연구와 교육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한다. 2장에서는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정책과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3장에서는 중국의 동양고전 관련 디지털인문학 교육을 정규교육과정과 비정규교육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동양고전 연구와 교육 분야에 시사점을 찾는 것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중국 디지털인문학의 전체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중국이 어떠한 어젠다를 가지고 디지털인문학을 이끌어 가는지를 고찰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digital humanities in China, focusing on policy, achievement, and education. Digital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also has a different appearance every day, so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present appearance. However, there is an empty space in the study of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es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addition, the focus is on the digitaliz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the research on its results, so it is difficult to know in what context and what kind of support the digitalization of Chinese classics received and aimed 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China's policies, achievements, and education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to draw a big picture of China's digital humanities, and to find out what agenda the Chinese government is leading digital humanities with. Many implications will be obtained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related to Chinese Classic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