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지리산 유람록을 분석하여, 그 등산경로를 파악하고, 그 경로의 특성을 규명하여, 현대 등산로와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63편의 지리산 유람록를 저본으로 하여, 지리산에 접근하는 경로와 지리산 내에서 등산하는 경로를 나누어서 분석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정성연구의 하나인 원전텍스트분석기법을이용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지리산 접근경로는 동쪽인 진주와 산청 방향으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고, 전체적으로는 영남권(함양, 산청, 하동)에서 들어오는 사람들이 가장 많았다. 지리산 권역에 들어와서는 화개골을 찾는사람들이 가장 많았다. 사대부들은 현대인들이 이용하지 않는 등산경로를 자주 이용하는 한편, 현대인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는 코스의 일부는 이용하지 않았다. 지리산 종주코스를 등반한 사람은 남효온이 유일하다. 사대부들의 거의반은 지리산 정상인 천왕봉까지 올라가지 않았다. 현재의 지리산둘레길을 따라 일주를 한 사대부도 있다. 어떤 사대부는 등산로를 넓히느라 민폐를 끼치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climbing route by analyzing the tour essays that recorded th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king trails of Jirisan during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63 essays of Jirisan excursions, the route to approach Jirisan and the route to climb within the mountain were analyzed separately. As a research method, the original text analysis technique was used. In the Joseon Dynasty, most of Sadaebu approached Jirisan from the east, in the direction of Jinju and Sancheong. Overall, most people came from the Yeongnam region (Hamyang, Sancheong, and Hadong). Within the Jirisan area, most people were looking for Hwagaegol. While Sadaebu frequently used hiking routes not used by modern people, they did not use some of the courses that are used a lot by modern people. Nam hyo-eun is the only person who has completed the whole trail of Jirisan from Nogodan to Cheonwangbong. Almost half of Sadaebu did not climb to Cheonwangbong, the top of Jirisan. There is a Sadaebu who went round the current Jirisan Dulle-gil. Some Sadaebu caused trouble while widening the hiking tr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