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작은 화산체인 오름은 제주지역에서 한라산과 더불어 독특한 경관자원이다. 이 오름에서 무덤은 흔하게 보이는 경관으로 오름에 의지해 생활하다, 오름으로 돌아가는 제주 사람들의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오름에 조성된 공동묘지는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규칙에 따라 시작됐는데 공동묘지 지정 당시 안장을 꺼리다가 1970년대 이후 비용과 법적 규제 등으로 개인 묘지를 쓰기가 힘들어지면서 공동묘지 이용이 본격적으로 이뤄졌다. 공동묘지에 무덤이 차면서 오름의 특수한 경관을 형성했으며 삶과 죽음의 공간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공동묘지가 들어선 오름은 모두 25개소로 파악됐다. 행정기관의 6개 공설묘지를 제외한 19개 공동묘지는 마을에서 운영, 관리하고 있으며해당지역 주민이 대부분 무료로 규정된 면적을 이용하고 있다. 오름에 공동묘지가 조성된 것은 일제의 강압, 거리 근접성, 풍수지리 영향, 농경지 보호 등이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오름의 공동묘지는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 때문에 일반개인묘지에서 보이는 산담(무덤을 둘러싼 돌담)이 없거나 경계 구분을 위해 시멘트 블록으로 간소화한 특징이 있다. 이번 연구는 오름에 공동묘지가 조성된 배경을 규명하고 인문경관으로 고찰을 시도한 의미를 갖고 있다.


Oreums, volcanic bodies, along with Halla Mountain are unique landscape resources of Jeju. Tombs in an oreum are found everywhere throughout Jeju and they symbolize the identity of Jeju people who live relying on an oreum and are buried there after they die. Common cemeteries were built in oreums according to the Act of a tomb, crematorium, burial and cremation control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t first, Jeju people were hesitant to bury their ancestors in a common cemetery. As time went by, after the 1970s they changed their mind and were in the business of burying their ancestors in a common cemetery because of the high cost and the legal regulation of burying in private graveyards. A lot of tombs in oreums formed its unique landscape and the space of life and death was separated there. There are 25 oreums where common cemeteries were built. Jeju people mostly buried their ancestors in a nearby oreum because they had to think about the easiness of a funeral. Common cemeteries a re m anaged b y the n earby v illages and its residents use an a ssigned area usually for f ree. The m ain factors of common cemeteries’ being built seem to be Japanese coercion, proximity, the effect of Fung Shui and the protection of farmland. Unlike other tombs, common cemeteries in oreums have no sandam, stones surrounding their tomb, in consideration of its size. Or there is simplified sandam using cement instead of stones to distinguish bounda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humanistic landscape of common cemeteries in Jeju’s Ore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