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이 그린 그림 총 70개(유아교육과 신입생 34명, 현직유아교사 36명)에 나타난 유아교육기관 교실 공간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그림에나타난 키워드를 중심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유아교육과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의 그림에는 ‘교육과정 중심의 공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유아 중심의 공간’, ‘그 밖의 공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이교실 공간을 떠올릴 때 주로 무엇을 중점적으로 생각하는지 보여준다. 각각의 경향 안에서 나타난 그림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교육과정 중심의 공간’ 안에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은 ‘공간에서의 놀이에 대한기억’을, 현직유아교사들은 ‘공간을 통한 교육과정 실현’의 측면을 중점적으로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유아중심의 공간’에서는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이 그린 ‘모이기 위한 공간’과 현직유아교사들이 그린 ‘영역으로서의 공간’의 모습이,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이 그린 ‘놀잇감이 그려진 공간’과 현직유아교사들이 그린 ‘도형으로 그려진 공간’의 모습이 서로 대비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그 밖의 공간’은 소수의 자료들에서만표현된 공간으로, 해당 그림들에는 앞서 교육과정 중심 또는 유아 중심의 공간이 아닌 은유적⋅비유적인 공간의 모습(만들어져가는 공간, 빛과 색을 품고 있는 공간)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교실 공간에 대한 유아교육과 신입생과 현직유아교사들의 생각의 차이를 보여주는 동시에 공간에 대한 관점의 현 주소를 진단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spa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s shown in drawing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70 pictures completed by 34 freshm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36 inservice teachers respectivel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keywords or themes in the drawings as to examine data trends; the results showed that a theme of ‘curriculum-centered space’ appeared the most in the drawings, followed by ‘child-oriented space’ and ‘other spaces’ themes. These results display what the two groups of participants mainly focus on when they think of classroom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s were also analyzed; in the ‘curriculum-centered space’, freshmen focused on ‘memories of playing in space’, whereas inservice teachers emphasized ‘realization of curriculum through space’. In the ‘child-oriented space’, freshmen highlighted ‘space for getting together’ in contrast to inservice teachers, who enunciated ‘space as a domain’ in their drawings. ‘Other space’ was only expressed in small parts of the data, given that it is not a curriculum-centered or a relationship-oriented space; metaphorical and figurative spaces (space being created, spaces containing light and color) were included here. Thes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displaying the perspective differences in regard to classroom space as educational settings between freshmen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