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천지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비평적으로 살펴봄으로 실천신학적 관점에서 이단 연구의 새로운 연구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2021년 9월 30일까지 출판된 신천지 및신천지를 포함하여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 선정된 31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각 논문을 분석하기 위해 기초사항,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분류범주를 설정하였고, 기독교 전통관점과 대안관점으로 양분되는 연구관점 범주를 추가하였다. 연구주제에서는 ‘원인’, ‘교리’, ‘대처’의 범주로 선정하여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 연도 별논문의 수는 신천지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었던 해와 맞물려서 증가하였다. 이러한 점은 신천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않아, 신천지 현상에 개입할 효과적 방법 역시 체계화되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둘째, 전체 논문의 수도 적지만, 학위논문의 수가 20여 년 동안 9편으로 매우 적었다. 이런 현상은 이론과 실천이 분리된 신학교나 기독교 대학의 커리큘럼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간학문적이고 교차 학제적 사고를 배양할 수 있는 신학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관점은 기독교 전통관점의 연구가 24편(77.4%)으로 압도적이었고, 주제별 동향은 ‘대처’에 관한 연구가 12편(38.7%), ‘교리’연구가 11편(35.5%), ‘원인’연구가 8편(25.8%)이었다. 신천지 현상은 기독교 내에서의 이단 논쟁을 넘어 사회적 대처와 개입의 필요성으로 확장되고 있다. 기독교는 신천지 연구를 주도해 왔으나 그 관심이 이론과 교리의 정통성에 국한되어 사회문제 해결에는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신천지 현상을 사회문제로, 그리고 피해자 관점의 실천적인 접근으로 인식과 태도가 변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연구접근 방법별 동향에서는 이론연구 논문이 21편(68%), 질적 연구는 10편(32%), 양적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연구방법론적 측면에서 이론적 고찰과 적용에 관한 연구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적 문제는 사회적 상황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다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되돌아가는 ‘실천-이론-실천’의 순환적 연구모델이 확대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한국 교회와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로 반복되어 왔던 신천지에 대한 연구들을 거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의 대처방법과 실천신학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무엇보다 이론과 정통성 논쟁에 머물러서 더 큰 시각으로 사회문제에 접근하지 못하는 현 상황의 문제를 조명하고 신학과 교회의 실천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future direction of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on Shincheonji by critically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31 selected studies on Shincheonji published from 2000 to September 30, 2021. To analyze each selected work, such categories as ‘basic information,’ ‘research subject,’ ‘participants,’ and ‘research method’ were set up. Two more categories of ‘traditional perspective’ and ‘alternative perspective’ were added based on the initial review.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classified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cause,’ ‘doctrine,’ and ‘respond strateg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by publication year increased in line with the year when Shincheonji emerged as a social issue. However, since it did not lead to continuous research, systematic and effective approaches to deal with Shinchoenji issues have not been developed. Second, while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was small, the number of theses or dissertations was much smaller, with 9 theses over the past 20 years. This phenomenon can be caused by the problem in the curriculum of the seminary and Christian schools in Korea which causes a gap between the theory-based theological education and the praxis. Thu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ractical theological courses that cultivate interdisciplinary critical approaches. Third, in terms of the point of view of the research, 24 studies (77.4%) conducted from the traditional Christian perspective outnumbered those from the alternative perspective. As for the trends by subject, 12 studies (38.7%) were related to ‘response strategy’, 11 studies to ‘doctrine’ (35.5%), and 8 studies (25.8%) were to the ‘cause.’ Christianity has led the study of Shincheonji, but its interest has centered around revealing the heresy of the Shincheonji doctrine.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sociology and religious studies conducted the studies from their theoretical perspective. Thu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Shincheonji phenomenon as a social problem and to approach the subject from the participant’s point of view. Fourth,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there were 21 theoretical research (68%), 10 qualitative research (32%), and none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most of the studies were focused on theoretical research and its application. The cyclical model of ‘practice-theory-practice’ should be applied to understand social problems utilizing the first-order data gathered from the praxis and return to the praxis to solve the problems. By macroscopically examining the studies on Shincheonji, which has been repeated as a chronic social problem in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strategies to respond and the directions of the practical theological research. It shed light on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it was not possible to deal with social issues from a larger perspective by being obsessed with the issue of heresy and orthodoxy,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practical theology and the practice of the 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