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갈수록 심화되는 사회적 양극화 상황 가운데 비판적 성인교육학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메지로우의 전환학습이 기독교교육의현장에서 어떻게 구체화될 수 있을지에 관심하면서 사회변혁을 위한 기독교적 전환학습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기독교교육의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인식적 전환의 필요성 및 인식발달-신앙발달 간의 관계, 발달을 촉진하는 요소 등을 고찰한다. 이런 과정에서 한국교회의 인식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학습자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기독교적 전환학습을 통해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게 함으로써 한국교회가 현실 사회와 교회 안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과 평등성, 개방성을 구현하는 공교회로 회복되기를 기대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교회교육 현장에서 기독교적 전환학습의 교육과정과 교재 등을 구성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 the reality of increasingly deepening social polarization, this paper aims to lay the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 for constructing Christian transformative learning, investigating how to apply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to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To this end, it examines some issues about cognitive and faith development, that is, the necessity of cognitive transformation in Christian education, the relevance of cognitive and faith development, and the promoting factors for those developments. For the Kingdom of God in Jesus Christ, ultimately, Christian transformative learning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hristian education and the results from it, so that the Korean church can be recovered as a public church that embodies relationality, equality, and openness of the Triune God in the present society and the church. Through those discussion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a Christian transformative curriculum, textbooks and teachers’ training for social trans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