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서번트리더십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보는데 목적이 있다.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리더십과 조직효과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있으나 서번트리더십과 직무열의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에서 해양경찰 조직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해양경찰공무원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연구의 독립변수인 서번트리더십은 개념적 기술, 감정적 힐링, 성장지원, 윤리적 행동, 권한 부여, 공동체 가치 창조 6개 하위요인으로, 종속변수인 직무열의는 헌신, 활력, 몰두 3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서번트리더십은 감정적 힐링, 성장 지원, 윤리적 행동, 공동체 가치 창조 요인을 직무열의는 헌신, 활력, 몰두 3개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리더십의 하위변인인 윤리적 행동은 직무열의 하위변인인 헌신에, 서번트리더십의 하위변인인 성장지원은 직무열의 하위변인인 활력에 그리고 서번트리더십의 하위변인인 감정적 힐링은 몰두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해양경찰의 발전을 위한 논의를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aritime police officials. Research o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s is diverse.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o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for maritime police officials. In this study, 131 maritime police officials were targeted.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 is servant leadership. Sub-variables are six sub-factors: conceptual skills, emotional healing, growth support, ethical behavior, empowerment, and community value creation. the dependent variable is Work Engagement. The sub-variables consisted of three factors: vigor, dedication, absorp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servant leadership consisted of emotional healing, growth support, ethical behavior, and community value creation, and Work Engagement consisted of vibor, dedication, and absorp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thical behavior, a sub-variable of servant leadership, influenced vibor, a sub-variable of Work Engagement. Second, growth support, a sub-variable of servant leadership, influenced dedication, a sub-variable of Work Engagement. Third, emotional healing, a sub-variable of servant leadership, influenced ab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