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해방 후 1960년대까지 서울 어린이들의 연중놀이와 계절놀이의 장소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으로, 근대 도시에 거주한 어린이공동체의 놀이문화를 놀이를 행하는 장소성의 맥락에서 분석한 도시민속지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해방 후 서울의 도심 및 한강변 지역에서 거주했던 남자 어린이들이 초등학생 시기까지 다양한 놀이 장소에서 했던 놀이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현지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해방 후 서울의 각 지역에는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어린이놀이의 경험이 축적된 놀이 장소들이 산재해 있었다. 서울의 어린이들은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골목길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거주지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들, 한강 등지로 나가며 놀이 장소를 확대시켜 나갔다. 서울 골목길에서 어린이들은 장소성을 활용하여 기존의 놀이를 그대로 전승하거나 일부 변용시켜서 골목놀이를 하였고, 골목길에서 확장된 주변지역에서는 기존의 놀이를 변용시키거나 새롭게 창조된 놀이를 하였다. 또한 ‘한강’은 어린이들이 계절놀이를 하기에 가장 적합하고 넓은 장소였으며, 한강 주변에서 거주한 어린이들은 주로 여름과 겨울에 계절놀이를 하며 놀았다. 동네의 골목길, 공터, 한강 등 다양한 ‘열린 공간’에서 어린이들은 놀이의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 다양한 놀이 장소들을 스스로 만들어갔으며, 이로써 도시의 다양한 ‘열린 공간’은 ‘어린이공동체의 놀이 장소’로 전환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ce of year-round play and seasonal play of children in Seoul from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to the 1960s. It is an urban folklore study analyzing the play culture of the children's community in modern cities in the context of the placeness of playing. For this purpose, it conducted fieldwork surveys and research focusing on the play experiences of male children who lived in Seoul city center and Han River area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1945 when they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the liberation, each area of Seoul was littered with play places where active and voluntary experience of children's play was accumulated. Children in Seoul started from the alleyway closest to their residence and gradually expanded the play place to areas far from their residence and to the area of Han River. Children played at alleys by transferring or partially transforming existing games using the placeness of Seoul alleyways, and in the surrounding area that was expanded from alleyways, they transformed existing games or played newly created games. In addition, the Han River was the most suitable and wide place for children to play seasonal games. Children who lived around the Han River played seasonal games mainly in summer and winter. In various ‘open spaces’ such as alleys, vacant lots, and the Han River, children became active subjects of play and made various play places themselves. Various ‘open spaces’ of the city were converted into ‘play places of children’s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