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정보통신기술과 발전의 관계를 규명하는 학술연구는 ICT4D라는 분야로 불리우며 지난 30여년간 이론적, 실증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고에 서는 이 분야 학술연구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이론적 쟁점을 정리하며, 디지털전환기 기존 ICT4D의 세계관을 벗어나 미래 연구의 방향성과 주요 이론적 질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ICT는 개발도상국의 추격(catch-up)과 도약(leapfrog)에 기여할 뿐아니라 개발협력과정의 거래비용을 줄이고 개인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데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ICT에 대한 많은 투자와 높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개발효과성이 크지 않고, 이론과 실증 연구의 간극이 크다는 비판이 있어왔다. 여기에 팬데믹으로 인한 전방위적 비대면 상황은 전 지구적 디지털 전환을 추동해 왔는데, 관련 학술연구에 있어서도 새로운 분기점이 되고 있어 본 연구주제의 함의가 크다. 연구방법론: 주요 국제학술단체인 국제정보처리연합의 ‘Implications of Information and Digital Technologies for Development’와 ICTD의 정기학술대회 프로시딩 을 대상으로 주제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연구자가 직접 참여한 프로그램위원 회의 1차자료를 바탕으로 방법론적 삼각화를 도모하였다. 연구결과: ICT4D 연구의 주요 이론적 분석틀을 바탕으로 학술연구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태동기, 형성기, 도약기, 확산기, 디지털전환기의 다섯 시기로 나누 어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의 흐름, 연구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하였다. 디지털전환기의 이론적 쟁점,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학제적으로 분야를 재정의하였다. 결론 및 시사점: 기존 연구가 분석의 단위로는 미시적, 인식론적 관점으로는 해석적 연구, 기술적으로는 시스템 중심의 접근방식이 주를 이룬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디지털전환의 시기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맥락적 다양성을 위해 주류적 시각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는 그동안 ICT 및 디지털 ODA에 관한 높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론화 작업 및 비판적 실증연구가 부족 했던 한국 국제개발협력계에도 시사점을 준다.


Purpose: Over the past 40 years,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development have accumulated under the name of ‘ICT for Development’. This paper critically reconstruct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is field, summarizes the theoretical debates, and proposes the direction and key conceptual questions to be explored beyond the existing ICT4D paradigm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Originality: ICTs have received spotlight as an innovative tool for providing catch-up and leapfrogging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countries, reducing the transaction cost in development mechanism and increasing individual capability. Despite large investments and high expectations for technologies, its effectiveness for development has been questionable, and the large gap between theories and empirical findings have been criticized. Moreover, the wake of the pandemic has called for digital transformation to become a global agenda, providing a turning point for the ICT4D field. Therefore, it is timely to provide reflections on the major theoretical frameworks and critically review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fields.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s a thematic qual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proceedings of the IFIP ‘Implications of Information and Digital Technologies for Development’ and ICTD conferences, providing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by diverse primary data source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program committees. Result: This study provides a historical overview of the ICT4D field broken down into five phases: 1) Emergence, 2) Formation, 3) Expansion, 4) Diffusion and 5) Digital Transformation. It also critically reconstructs conceptual evolution and research contributions of the main studies. This i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future research agenda, emphasis on multi-disciplinarity and reconceptualization of the field. Conclusions and Implication: Existing research have dominantly been conducted at the micro-level unit of analysis, applying an interpretivist epistemological approach and focusing on system as a technological artefac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inevitable for the mainstream view to incorporate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contextual pluralism. This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hich lacks critical empirical research and philosophical debate despite high expectations for science, technology and ICT O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