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급부사관을 대상으로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 소재지의 부대 초급부사관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00 684 . SPSS18.0 , (Muth n & Muth n, 2010) 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구조방정식 기법을 활용하여 매개 é é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군 인성은 조직몰입 및 셀프리더십에 정적 . , ,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로 나타 . 났다 둘째 군 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이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 , . 는 군 인성이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셀프리더십을 통해 조직몰입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사관의 조직몰입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군 인성 교육과 더불어 셀프 . 리더십 향상을 위한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 betweenmilitary character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junior NCOs(Non CommissionedOfficers). This research target was 684 junior NCOs in the 00 unit located in Jeonbuk. The datawas analyzed by using SPSS 18.0 and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techniques (Muth n & Muth n, 2010).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variants é éshowed the military character statically significant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organizationcommitment and the self-leadership. Also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ppearedstatically and significantl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between military charact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mean that militarycharacter directly affect and increases theorganization commitment through the self-leadership.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improving the education of the self-leadershipand the military character in order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of junior NCO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NCOs(Non Commissioned Officers), Military character,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