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불교경전에 나타난 신심과 수행」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불교는 신심과 수행으로 깨침을 중시하는 종교이다. 다른 종교에서 절대자의 구제를 중시함에 비해 불교는 다른 사람을 의지하지 않고, 자력(自力)의 청정한 신심(信心)과 수행(修行)으로 자신의 마음을 직접 밝혀 깨침을 추구한다는 것이 불교의 종교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모든 수행의 과정에서 깨끗한 신심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또 신심은 깨달음의 경지(佛果)를 이루기 위한 시작임과 동시에 궁극이므로 발심해서 성불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심과 수행을 생활 속에서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수행방법은 기도와 독송, 간경, 사경, 주력 등이 있는데, 반드시 이들 수행법의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이 바로 깨끗한 믿음(淨信)과 바른 수행(正行)이다. 불교의 모든 경전은 자력(自力)과 올바른 수행으로 하는 수지 독송과 다른 사람을 교화하기 위한 해설․서사를 위한 훌륭한 자량(資糧 양식)이 들어있는 보고(寶庫)로서 손색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경전을 수지 독송하고, 해설서사하는 수행을 통해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는(上求菩提) 자리(自利)와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下化衆生) 이타(利他)를 합일시켜 나갈 때, 5가지 문인 5바라밀이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그리고 이 5바라밀은 마지막 지혜바라밀 수행으로써 완성되는데, 이것이 바로 6바라밀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살펴본 불교경전에 나타난 다양한 신심과 수행은 결국 우리가 삼독으로부터 벗어나 깨끗한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갈 수 있게 해주는 지침서로써의 역할을 해준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ake a look at 「Faith and Asceticism Display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Buddhism is religion that values the enlightening from faith and asceticism. While other religions value the salvation by the absolute power, Buddhism does not depend on other beings but has its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pursuing the enlightening in Buddhism by directly disclosing one’s own mind with the pristine faith and asceticism with its own volition.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pristine faith would be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working toward the next phase in all process of the asceticism, and the faith would be the commencement to accomplish the state of enlightenment simultaneously with reaching to the attainment of Buddhahood with the spiritual awakening for its ultimate finale. For the methods that could most easily practice for such faith and asceticism in real life, there are prayer and Doksong (reading or memorizing Scriptures), Gangyeong (silent reading of a sutra), Sagyeong (copying of Scriptures), Juryeok (the power of the earnest chanting of mantra or dharani.) and others, and the one that has to be the prerequisite for this asceticism method would be the pristine faith and correct asceticism. All Buddhist Scriptures are well qualified as the treasures that contain the magnificent Jaryang (food; meaning to contain great deed and benevolence) for connotation and description to edify other people and Doksong (reading or memorizing Scriptures) with the correct asceticism and self-discipline. And through the Doksong (reading or memorizing Scriptures) of various Scriptures and the asceticism of connotated and described asceticism, it would be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5 types of paramitas when blending in the practices of Jari (seeking for individual profit) in seeking for enlightenment on the top and altruism with edifying all living creatures on the bottom. And this 5 paramitas is completed as the last wisdom paramitas asceticism, and this would be constituted as the 6 paramitas. Therefore, various faith and asceticism appearing in the Buddhist Scriptures as shown in this article would have its important value in the aspect that it would have the role as the guideline for us to break away from the Samdok (origin of all agonies and sufferings in life; greed, rage and foolishness) to enter into the pristine state of enlighte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