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종단연구의 자료수집 설계 중에서 가속종단설계를 소개하고 가속종단설계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모형과 해석방법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에서 1차년도(2010년)부터 6차년(2015년)도 자료를선택하여 종속변수로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영어성취도와 예측변수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목표의식에대한 초4부터 고3까지의 데이터와 이분변수인 성별을 선택하였다. 통계모형은 연구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선형의 일차함수와 비선형의 이차함수를 선택하여 2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HLM8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속종단설계는 단일코호트설계보다 조사주기가 짧기 때문에 표본유실률이 낮고 비용효율성이 높으며, 학생들의 변화를 빠르게 평가하고 예측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종단연구 자료 수집 설계로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statistical models and interpretation methods for analyzing data collected through accelerated longitudinal designs. Data from the first year (2010) to the sixth year (2015) are selected from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Dependent variable is English achievement growth from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3rd grade in high school. Dynamic predictor variable is goal consciousness and static variable is gender. The statistical model is a two level multilayer growth model, with linear function and nonlinear quadratic functions widely used by researchers. As the accelerated longitudinal design has a shorter research cycle than the single cohort design, it has a low sample loss rate, high cost-effectiveness, and has the advantages of rapid evaluation and prediction on student changes, thus,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it be applied as a data collection design for a longitudinal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