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세기 초 일제 시대를 살았던 경북 지역 여성들의 내방가사와 회고록을 통해 만주 망명과 독립 운동에 대한 기록물의 의미를 입체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내방가사 작품들의 경우 ‘만주 망명 가사’라는 범주에서 근래 활발히 논의되었는데 이러한 시각을 확장해서 ‘만주 망명의 역사와 여성’이라는 범주 속에서 해석해 보았다. 여성들의 기억과 기록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역사 속의 타자화된 대상으로서가 아닌 능동적 사유의 주체로서 여성들을 재인식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공적인 기록물이나 남성들의 기록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독립 운동에 참여하거나 희생되었던 사건에 등장하는 인물에 불과할 뿐 유효한 의미망을 복원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성들 스스로 당대 시기를 이해하고 의미화했던 기록물들에 대한 접근과 분석은 독립 운동의 역사에서 여성이 어떠한 자리매김을 ‘당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전환할 수 있게 해 준다. 내방가사 작품들의 경우 만주 망명의 역사에서 남성들의 기록에는 보이지 않는 여정(旅程)의 고단함, 의식주 문제, 다정했던 사람들과의 관계나 일화 등 미시적 시선에서 포착된 일상의 나날들이 매우 세밀하게 확인된다. 망국과 독립이라는 이념적 당위성 이면에 가족의 생존을 책임져야 하는 여성으로서의 부담감과 분투가 형상화되어 있고 주변 사람들에 대한 애틋함이나 그리움의 정서도 곳곳에서 확인된다. 또한 두 편의 회고록은 광복과 한국 전쟁을 지낸 후 남북 분단의 현실 속에서 만주 망명의 역사를 기억하고 구술한 자료들이라는 점에서 내방가사와 차이가 있다. 자기 서사나 가내 소통을 염두에 두고 동시대적으로 창작된 내방가사와 달리 오랜 시간이 지난 후의 기억임에도 불구하고 독립에 대한 염원을 노래로 기억하는 방식이나 고난에 찬 일상을 재현하는 시선과 언어는 놀랍도록 생생하였다. 특히 광복과 분단 이후 친일 가문의 후손들은 신식 교육을 받고 부유하게 살아가는 반면 만주 망명과 독립 운동으로 몰락한 가문을 바라보는 처절한 현실 인식은 회고록의 성찰적 유의미성이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이처럼 이 시기 경북 여성들의 기록을 통해 만주 망명과 독립 운동의 역사에서 여성들도 능동적인 행위와 실천의 주체였으며 간절히 독립을 염원했던 남성들의 동지(同志)였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남성들의 기록과 달리 사적(私的)인 시선에서의 감수성이나 탄식이 두드러지는 내방가사와 회고록은 사실적 기록 위주의 남성 일기나 공적(公的) 사료에 대한 보완적이고 대안적인 기록물로서의 의미도 충분해 보인다. 여성들이 직접 사유하고 표현한 기록은 역사적 사료인 동시에 당시 여성의 존재와 삶을 증명하고 복원할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통로이기 때문이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s of documents on Manchurian exile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different dimensions through the memoirs and naebang-gasa written by women who lived in Gyeongsangbuk-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recent years, naebang-gasa work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n relation to Manchurian exile, and this study extends the perspective in order to interpret the works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y of Manchurian exile and women.” The discussion on women’s memories and records is important as it allows us to perceive them as subjects of active thinking, rather than objects otherized in history. The reason behind is that official records or men’s records describe only women who participated or sacrificed themselv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restoring an effective semantic network solely from those women. Therefore, as we approach and analyze records by women who understood and gave meanings to their time for themselves, we can convert the perception of women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from “women placed in a position” to “women positioning themselves.” Naebang-gasa works describe daily lives captured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in detail, which cannot be seen in men’s records about the history of Manchurian exile, such as hardship in the journey to Manchuria, problem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relationships and anecdotes with warmhearted people. They describe women who were struggling, with burden, to be responsible for the livelihood of their families, behind the ideological imperativeness of the independence of their ruined country. Their affection and longing to see their friends and family is also found throughout the works. In addition, the two memoirs are different from naebang-gasa as they contain their memories and oral statements on the history of Manchurian exile in the reality of the country divided into South and North Koreas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War. The memoirs show that the way they remembered their longing for independence even after a long time and their perspective and language used to illustrate the daily lives full of hardship were remarkably vivid, unlike naebang-gasa that were written in the same period for the purpose of self-narratives or communication within a family. In particular, the reflective significance of the memoirs stands out in parts where they looked in agony at their families that collapsed due to their Manchuria exile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opposed to the descendants of pro-Japanese families who were receiving new modern education and living in affluence,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s seen above, the records by women who lived in Gyeongsangbuk-do during that period show that in the history of Manchurian exile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women were the subjects of active actions and practice and comrades of men who eagerly longed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as well. It appears that the naebang-gasa and memoirs, which contain women’s sensibility and sighs from personal perspectives, have sufficient significance a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records to men’s diaries or official historical materials focused on factual rec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