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보조사를 대상으로, 목표 언어에의 노출 여부를 변인으로 학습자의 화용 능력 차이를 살피고자 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보조사의 형태와 의미/기능(형태-기능적 적절성), 의미 기능을 둘러싼 맥락 간(기능-맥락의 적절성)의 자동적 전이를 살피는 것으로 화용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활용 화용 판단 듣기 테스트(C-PLT)와 비구술 회고적 보고 인터뷰(RN VR)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숙달도에 따른 화용 능력에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목표 언어의 노출 변인에 따른 화용 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에 노출된 경험을 지닌 학습자 집단의 경우 중급 숙달도에서 개인별 편차가 매우 크게 드러났는데, 본고에서는 RNVR을 토대로 그 이유를 학습자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에 대한 언어 태도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다소 소극적으로 다루어진 화용 능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그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 관련 논의에서, 숙달도 외의 변인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이와 관련한 질적 연구의 축적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d how learners’ ability to use language differs according to their exposure to the target language. Competence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nguistic form, its meaning and function. To this end, 50 Korean learners were subjected to C-PLT tests and non-oral retrospective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use competence and proficiency, but use competence was found to be strongly correlated with exposure to the target language. In addition, the variation among intermediate heritage language learners was large, which may have been a product of various language identities and attitudes toward Korean.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was practical and experimental because mos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s not. Further qualitative research with a range of variables and heritage language learners as participants should b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