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 화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언한 것이다. 넷마이너를 활용하여 ‘화법’을 키워드로 한 KCI 등재지의 학술 논문 2,210편을 수집하였고,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거쳐 화법 연구와 관련된 최종 분석 자료 370편을 선정하였다. 이 자료를 대상으로 어휘 빈도 분석, 동시 출현 단어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을 하였다. 어휘 빈도 분석 결과 ‘교육, 대화, 과정, 중심, 국어, 교사, 능력, 평가’ 순의 키워드가 고빈도 어휘로 나타난 점과 학습 상황에서의 화법 연구가 교사를 표면적 주제로 제시하여 이루어진 점, 일상 대화 관련 연구의 키워드를 확인하였다. 동시 출현 단어 분석 결과 교수자 측면에서 화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교육적 차원의 논의가 주목된다고 보았다. 연결 중심성 분석 결과 ‘교육, 중심, 대화, 언어, 분석, 국어, 말, 수업’ 순의 키워드가 화법 연구에서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어라는 점과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다양한 대화 참여자 간 화법 분석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 시대의 화법 연구는 확장된 공간에서의 대화 현상을 반영하여 더욱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온라인 공간에서 대화하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린 시대적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매체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또 다른 화법 현상을 주목한 논의가 다층적으로 다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domestic speech communication research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2,210 registered KCI papers that contained the keyword “speech” were collected and 370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data preprocessing. Vocabulary frequency, co-occurring word, and degree-centrality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selected papers. Vocabulary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many studies on speech wer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learning situations and that studies related to daily conversations were relatively rare. Vocabulary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 was “education” followed in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by “dialogue,” “process,” “center,” “Korean language,” “teacher,” “ability,” and “evalu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tudies of speech communication in learning situations were conducted by presenting teachers as surface topics. Keywords frequently used in daily conversation-related research were identified. Simultaneous word analysis showed that many studies were about how to teach speech. Degre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 in speech research was “education” followed in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by “center,” “dialogue,” “language,” “analysis,” “Korean,” “speech,” and “class” and that conversation participants were analyzed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Thes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speech communication research should be further discussed while reflecting the conversation phenomenon in the expanded space such as cyberspace. Considering the environment in which communication has become a daily life in the online space, discussions about speech communication phenomena occurring in various media should be dealt with in multiple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