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업소진(탈진, 냉소, 무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비교경향성, 기본심리욕구만족 및 좌절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수도권 소재 대학 30개교에 소속된 대학생 및 대학원생 130명(여학생 92명, 70.8%)이 본 연구를 위한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상관분석에서 탈진, 냉소, 무능감 모두 유능성좌절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고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사회비교경향성부터 자율성(만족,좌절), 관계성(만족,좌절), 유능성(만족,좌절)의 순서로 독립변인이 투입되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탈진은 사회비교경향성, 자율성좌절, 유능성좌절, 냉소와 무능감은 유능성좌절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비교경향성은 학업소진의 세 하위변인 중 탈진에만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의 학업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심리욕구의 좌절, 특히 유능성좌절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학업소진 연구에서 흔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사회비교경향성이라는 요인을 통해 학업소진의 특성을 밝힘과 동시에 기본심리욕구를 만족요인과 좌절요인으로 나누어 이들 변인과 학업소진과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한계 및 교육, 상담현장에서의 개입전략과 함의점 등이 함께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n academic burnout. A total of 130(female 92, 70.8%) students across some university in Seoul and Gyeonggi-do in South Korea were surveyed March. 2022. The findings of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orrelation analysis, exhaustion, cynicism and incompetence all report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rustration of competence. Next,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variables were entered in the order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utonomy (satisfaction, frustration), relatedness(satisfaction, frustration), and competence(satisfaction, frustration). As a result, it was finally found that exhaus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rustration of autonomy and competence. Also, cynicism and incompetenc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only by the frustration of competence. In other word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ffects only exhaustion among the three sub-dimensions of academic burnout,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especially competency frustration, in order to prevent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burnout based on the not onl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hich has not been commonly dealt with in burnout studies, but divide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to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actor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tervention strateg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counseling in university, and implications are also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