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여대생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대상화와 대인관계 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4월 1일부터 약 3개월 간 여대생 319명의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자기대상화, 대인관계 불안, 우울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를 자기대상화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를 대인관계 불안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는 우울 감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다시 말해 20대 여성의 대인관계, 우울, 내현적 자기애에 대하여 탐색하고 이들이 끼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그들의 삶의 질 향상에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하겠다. 위와 같은 결론의 도출로 우울과 같은 부정정서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objectification and interperson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in domestic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survey data of 319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for about three months from Apr. 1, 2021,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self-objectification, interpersonal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objectific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ird, interpersonal anxiet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depression reduction program targeting female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