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안동놋다리밟기 전승자와 공연에 참여하는 지역민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공진화(자기 조직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지역민이 무형문화재 참여를 통해 놀이를 배워 공연하며 자기존중과 자기만족 성취감을 통한 자아실현과 일상생활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관객을 안고 공공성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반복 과정은 지역민과 지역사회의 이해와 참여를 넓히며,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집단 간 전승자들은 향유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갈등 상황들을 해결할 수 있고 향유자와 전승자는 무형문화재 참여로 인한 성과와 경험 등을 확산시켜 자발적인 공동체로 성장하는 과정에 주목하고 무형문화유산의 지속가능성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무형문화유산 공동체를 성장할 수 있게 하는 매개자의 역할과 관객을 포함한 실증적인 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rocess of co-evolution (self-organization) by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argeting the practitioners of Andong Noddari Tramp,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Local residents learned to play and performed through participation in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realized self-realization through self-respect and self-satisfaction and a sense of achievement, and embraced the audience and sought publicity. This iterative process broadened the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mmunities, and was able to form a consensus on the preservation and necessit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ransmitters between groups can resolve various conflicting situation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enjoyment, and those who enjoy and inheritors focus on the process of growing into a voluntary community by spreading the achievements and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study the sustainabilit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is meaningful in that sense. It is expected that the follow-up research will lead to empirical research including the role of mediators and audiences that enable the growth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