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환경사회학은 ‘환경 문제’라고 일컬어지는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을 분석하고, 현실 세계의 더 나은 변화를 지향해왔다. 이러한 속성 덕에 환경사회학은 실천지향적인 학문으로 규정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는 실천으로 ‘향하는’ 연구 너머 실천이 ‘내재한’ 연구가 환경사회학에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개진한다. 실천이 내재한연구란 고정된 대상을 탐구하는 연구에서 벗어나 연구 자체가 현실 세계의 실천 중하나임을 인지하고, 실천의 방향에 따라 세계가 다르게 보인다는 점을 주시하는 연구이다. 이때 연구자는 미리 설정한 연구 설계에 따라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론에서 벗어나, 연구 대상과의 마주침을 통해서 연구자 스스로와 연구가 변화되는과정을 연구에 포함시키면서 주체-객체의 근대적인 이분법으로서부터 벗어난 연구를 지향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위하여 이 연구는 에스노그라피라는 전통적인 사회과학의 연구 방법론을 재고하며, 그 예시로서 두 사례를 제시한다. 한 사례는 해양쓰레기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직된 NGO와 문제를 가시화하는데 기여해 온 전문과학 조직을 현장으로, 다른 한 사례는 핵발전소 주변에서 살아가는 주민들의 공간을현장으로 삼은 연구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연구자들은 처음 가지고 있던 관념들로부터 벗어나 사유를 이동시킬 수 있었다. 이 사례들과 같이 환경사회학에서 에스노그라피는 자연과 사회라는 이분법에 도전하고, 환경 문제의 구성, 제도, 실천의 복잡성을 다루는 연구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은 연구자의 위치에 대한 재설정이자 연구가 이미 환경 문제 속에서 살아가는 현실 세계 속에 있음을 끊임없이 자각하는 연구 태도를 고양시키리라 기대한다.


Environmental Sociology in Korea has been analyzing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nd aiming for changes of a real world toward better one. Thus, several studies have refered to environmental sociology as “practice-oriented research.” In this study, we problematize this concept and try to find out how to research beyond practice-oriented research to practice-embedded research. The practice-embedded research deviates from exploring fixed relation between subject-object and recognizes that research itself is one of the practices in the real world. At this time, the researcher gets away from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data given according to the research design in advance and aims to study including the process of changing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through the encounter with the research ‘object’ and to surpass the modern dichotomy of the subject-object. This study reconsiders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raditional social science called ethnography and presents two cases which researchers have performed as examples. One fieldwork was performed in two organizations which one is NGO organized to solve the problem of marine litter and the other is a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to produce scientific knowledge on marine litter, in particular marine plastic. The other case is about the space of residents living around nuclear power plants as the field site. In carrying out ethnography, researchers were able to shift their thinking away from the ideas they had initially. As in these cases, ethnography in Environmental Sociology challenges the dichotomy between nature and society and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deals with compositions, system,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ethnography might contribute Environmental Sociology to resetting the position of the researcher and raising the attitude toward research that listens to the real world living with environment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