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에세이스트의 책상』(배수아)론이다. 이 논문은 우선 이 소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 즉 언어에 대한 서술자의 에세이를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언어학을 추구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리고 이 소설이 이런 언어학을 알레고리화 하는 서사임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결국 이 알레고리적 서사가 내포하고 있는 염세주의적인 세계관까지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소설에서 내부의 타자성이 아니라 ‘외부에서 주체를 관통하는 무수한 타자성’이, 모던하다기보다 포스트모던한 서술적인 주체성을 형상화했다는 선행연구의 결론을 계승한다. 하지만 이 논문은 소설이 모던한 주체의 현전을 해체하는 포스트모던한 국면보다 이 현전의 기반이 되는 구조주의의 보편구조까지도 벗어나는 포스트구조주의적인 국면을 읽어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포스트’한 언어 기표들의 구조적인 ‘소묘’가 내포하는, 이 소설의 염세주의적인 세계관까지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논문은 소설 언어에 관한 작가의 자의식을 가장 판명하게 노정한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배수아의 “소설 쓰기” 스타일 자체를 상호텍스트적으로 탐색하게 할 주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이 논문이 『에세이스트의 책상』을 재독하면서 특별히 통찰하는 점은 기본적으로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M이라는 인물이 체현하는 음악적인 보편구조를 탐색하는 점이다. 둘째는 M이 체현하는 음악적인 보편구조와, 에리히가 체현하는 민족언어의 공모관계를 탐색하는 점이다. 셋째는 ‘나’가 체현하는 언어적인 보편구조를 통찰하는 점이다. 이 구조들을 대비함으로써 이 논문은 결국 포스트구조주의적인 (소설)언어의 보편구조를 만드는 기표들의 ‘소묘’가 세계의 무상성이라는 기의를 배태한다는 점을 드러낼 것이다. 이는 배수아의 소설언어와 염세주의적 세계관을 이론적으로 정초함으로써 향후 작가론을 심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Soo-ah Bae’s Essayist’s Desk. It will first focus on the narrator’s essays on languag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novel. And it will be revealed that this is pursuing a post-structuralist linguistics. And it will be revealed that this novel is a narrative that allegorizes such linguistics.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gain insight into the pessimistic worldview that this allegorical narrative implies. This thesis inherits the conclusion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innumerable otherness that penetrates the subject from the outside,” rather than the internal otherness, embodies a postmodern narrativistic subjectivity rather than a modern one. However, this thesis tries to read the post-structuralist phase that deviates from the universal structure of structuralism rather than the post-modern phase in which the novel deconstructs the present of the modern subject.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look into the pessimistic worldview of the novel, which is implied by the structural “drawings” of the “post” linguistic signifiers. In the end, this thesis will provide a major clue to intertextually explore Bae Soo-ah’s style of “writing a novel” itself by analyzing Essayist’s Desk which most clearly reveals the author’s self-consciousness about the language of the novel. There are basically three main points that this thesis gives a special insight while re-reading Essayist’s Desk. The first is to explore the musical universal structure embodied by the character M. The second is to explore the complicity between the musical universal structure embodied by M and the national language embodied by Erich. The third is to gain insight into the universal linguistic structure embodied by ‘I’. By contrasting these structures, this thesis will eventually reveal that the “drawings” of the signifiers that make up the universal post-structural linguistics embody the meaning of the impermanence of the world. This will contribute to deepening the theory on the writer in the future by theoretically grounding Bae Soo-ah’s novel language and pessimistic world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