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이청준의 초기 소설 「병신과 머저리」와 이를 영화화한 김수용의 <시발점>을 중심으로 박정희 체제의 대항담론을 구성했던 (소)시민의 정치적 불/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1960년대와 함께 시작된 박정희 체제의 군사주의가 직조한 초남성성 사회에 대항하는 문학/문화의 정치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산업화, 근대화를 통해 중산층을 만들겠다는 박정희 체제의 통치성은 소시민 문학론이라는 대항담론을 형성하였다. 중산층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이를 타자화하는 개인의 내면에 주목함으로써 문학적 응전을 취한 셈이다. 4.19 세대를 대표하는 작가 이청준의 초기 소설은 ‘하지 않음’을 실천하는 남성 청년의 주체화를 통해서 박정희 체제와 길항한다. 이청준의 남성주체들은 여성을 포함한 무엇도 욕망하지 않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들은 연애, 결혼, 섹스를 ‘하지 않음’으로써 이성애규범성을 실천하지 않고 재생산을 거부한다. 그런 데 이 섹스하지 않는 남성들이 유일하게 관계를 맺는 것이 남성 간 섹슈얼리티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남성 간 삼각관계를 노골적으로 형상화하는 영화 <시발점>은 남성동성사회(homo social)를 동성애(homo sexual)로 가시화함으로써 정상성의 질서를 훼손한다. 이들의 사도마조히즘적 관계는 마조히즘적 주체성의 영역을 재현한다. 이는 ‘미래 없음’이라고 하는 퀴어한 상상력이다. 「병신과 머저리」와 <시발점>은 베트남 전쟁을 후경으로 등장하여 박정희 체제의 근대화 정책에 대해 순응 대 저항이라는 이항대립의 구도 사이에 ‘하지 않음’이라는 부정성의 자리를 만든다.


This paper examined the political (im)possibility of citizens(petit bourgeois) who formed a counter-discourse against the Park Chung-hee system, focusing on Lee Chung-joon’s early novel and Kim Soo-yong’s movie <The Starting Point>.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politics of literature that produces the fundamental hostility of ‘no future’. The Park Chung-hee regime—which began in the 1960s—was a hypermasculine society centered on militarism. The goal of governance of creating a middle class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provoked the counter activity of the literature theory of the petit bourgeois. When middle-class culture began to form, literary responses paid attention to the inner life of individuals. The early novel by Lee Chung-joon—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4.19 generation—defies the Park Chung-hee regime through the subjectification of a male youth who practices “not doing.” Lee Chung-joon’s male subjects appear to have no desire for anything, including sex with women. They reject reproduction without practicing heterosexual norms by “not doing” dating, marriage, and sex.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nly common denominator between men who do not have sex is sex between men. The movie “The Starting Point,”—which explicitly embodies a love triangle between men—undermines the order of normality by representing the homosocial as homosexual. The sadomasochism between men is a queer imagination called “no future.” “A Moron and a Silly” and <The Starting Point> are set in the backdrop of the Vietnam War, creating a negative position of “not doing” between the binary confrontation of compliance and resistance against the modernization policy of the Park Chung-hee reg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