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외식창업교육특성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대해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22년 2월1일부터 2월28일까지 시행했으며 설문 대상은 대구·경북지역의 외식창업교육을 수강한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중 유효한 283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인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창업교육특성과 창업효능감의 분석 결과는 외식창업교육자의 교육기법과 학습지원시스템은 종속변수인 창업효능감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임을 알 수 있었으며, 둘째, 외식창업교육특성과 창업의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외식창업자의 교육기법, 창업교육시설과 학습지원시스뎀이 종속변수인 창업의지에 대해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에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창업효능감은 창업의지와 관련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based on how the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 startup education affected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intention in career-interrupted wom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Feb 1 to 28, 2022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Of 283 valid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efficacy, restaurant startup educators' education techniques and learning assistance system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the dependent variable of entrepreneurial efficacy. Second,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restaurant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taurant startup educators' education techniques, startup education facilities, and learning assistance system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the dependent variable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ial efficac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