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889년부터 현재까지 출간된 고소설 번역서를 대상으로 그 현황을 작품별·작가별·번역가별·연도별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본 것이다. 또한 한국 고소설 영역의 발전을 위해 언어학적 그리고 번역학적 차원에서의 과제를 모색하고 제언한 것이다. 우리 문학이 최초로 영어로 번역된 것은 알렌의 『한국민담집 Korean Tales』이다. 알렌의 번역서 이후, 한국 문학 영역의 역사는 이미 100년이 훌쩍 넘는 시간이 흘러버린 만큼 그 전통은 오래되었다. 한국 고소설 영역 현황에 대한 분석은 영역의 역사만큼이나 기관 혹은 일부 개별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지난 10년간 고소설 영역의 성과는 기존과 비교해서 획기적으로 발전한 바, 고소설 영역 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할 주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이 글은 현재까지 산출된 고소설 번역 텍스트를 대상으로 ⓵ 작품별, ⓶ 번역가별, ⓷ 작가별, ⓸ 연도별로 현황을 분석 하였다. 또한 통계 현황을 기반으로 한국 고소설이 해외에 적극적으로 소개되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발전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당면과제를 모색하였다. 언어학적 차원으로서는 이국화(Foreinization) 전략을 통한 번역 방식을 제언하였으며 번역학적 차원에서는 첫째, 재번역의 문제와 둘째, 동일 작품에 대한 이본 번역의 다양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status and subsequent problems of English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published in ranging from 1889 to 2022 by literary work, author, translator, and year. Its objective is also to explore several problems at the linguistic and translational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The first English version of Korean literature is Korean Tales, which was translated by Allen in 1889. The history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literature has already passed well over 100 years, so its tradition has been ol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by institutions or several scholars. Over the past 10 years, however, the performance of English vers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has developed dramatical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It can be thought that it is time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Based on this, this paper also explores several problems associated English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 translation method, foreignization, is suggested at a linguistic dimension, and re-translation and translation of different editions of same literary work are presented at the transla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