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국혁명기 아일랜드 의회독립 운동의 등장은 기존 역사 서술에서 1780년 자유무역 쟁취 이후의 자연스러운 발전 과정으로 다뤄졌다. 미국혁명기 전까지 일반적이었던 사고방식은 자유무역과 합방이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아일랜드에서 자유무역 이후 의회독립 운동의 등장은 문제시되고 설명되어야 할 역사적 현상이다. 이 글은 아일랜드인의 광범위한 군사적·정치적 참여가 의회독립 운동의 주요 동력이 되었으나 영국과 아일랜드의 정치경제적 관계 때문에 의회독립이라는 정치의식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1778년 영국사회가 영국의회를 로비하여 아일랜드 자유무역 법안을 좌초시킨 사건이 결정적이었다. 이 사건으로 아일랜드의 지도적인 애국파와 의용군은 영국의회를 본질적으로 영국의 이익을 우선시하느라 아일랜드의 이익을 대변하지 않는 기관으로 불신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들은 1779년에 자유무역을 요구하며 합방에 반대했고, 1780년에 자유무역을 얻고서는 의회독립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 둘은, 즉 자유무역과 반(反)합방 그리고 의회독립은 영국사회에 대한 영국의회의 불신이라는 점에서 같은 인식의 다른 시기적 표현이었다.


The emergence of the Irish Parliamentary independence movement, which achieved its aim in 1782, has been treated in existing scholarship as a more or less natural phenomenon subsequent to the ‘Free Trade’ obtained in 1780. Yet the emergence of the Irish Parliamentary independence movement have to be explained rather than taken for granted, given the fact that the typical thinking before the American Revolution had been Free Trade and the British-Irish Union, This article argues that while the wide militar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Irish was the main dynamics of Irish popular politics, political economic relationships between Britain and Ireland fundamentally reshaped the political consciousness of Ireland’s Parliament independence. Decisive was British society’s lobbying that successfully obstructed in 1778 the Irish free trade bill of the British Parliament. This event had Irish Volunteers and Patriots distrust the nature of the British Parliament in ways in which it put priority on and was easily Influenced by the interests of the British, not those of the Irish. Therefore, they demanded Free Trade and no British-Irish Union and, after the acquisition of Free Trade in 1780, advanced the cause of Ireland’s Parliamentary independence from the British Parliament. These two perceptions, Free Trade with no Union or Parliamentary Independence, were two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ame understanding of distrust in the British and their Parlia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