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수요자 중심의 융복합 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D대학의 A교과목에서 실시되는 강의페어 링 결과보고서 총 25편(2021년도 1, 2학기 공모전 수상작)을 분석함으로써 수요자 중심의 강의페어링 교육의 기획 및 운영에 있어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필자는 먼저 강의페어링 결과보고서에 나타난 융복합의 유형을 융복합에 있어서 주제 도출의 과정에서 두 교과목이 기여하는 비중 등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 분포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강의페어링 결과보고서들을 분석하면서 결과보고서의 결론 도출 과정에서 A교과목의 비중과 역할을 상, 중, 하로 구분하여 A교과목 의 융복합 주제 도출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공모전 수상작들의 결과보고서 분석 결과, A교과목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페어링된 다른 교과목에서 그 답을 구하고자 하는 II유형이 가장 높은 비중(56%)을 차지하였으며, A교과목의 비중과 역할이 가장 낮은 ‘하’인 경우가 절반 이상(52%)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향후 A교과목의 설계에서 첫째, 교과목이 다루는 주제의 범위를 축소하는 대신 그 내용을 심화하고 둘째, 강의페어링 작성에서 A교과목에서 다루는 문제해결형 글쓰기와의 연계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수상작인 강의페어링 결과보고서에 활용된 전공 교과목 담당 교수자들과의 간담회 및 학생 발표회를 통해 학습자 및 교수자 모두에게 결과보고서에 대한 피드백의 기회를 줌으로써 교수자에 게는 강의 전반 및 융복합 지도에 대한, 그리고 학습자들에게는 자기주도형 융복합 설계에 대한 환류 과정을 가질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a total of 25 lecture pairing reports to better plan a learner-oriented lecture pairing educa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its operation. The reports were from the winners from the 1st and 2nd semesters of a 2021 contest conducted in the A subject of University D, which is implemented as a part of learner-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First, I classified the types of convergence shown in the lecture pairing reports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of the two subjects in the process of topic derivation in convergence, and then looked at their distribution. In addition, while analyzing the lecture pairing reports, the contribution of subject A to deriving the convergence theme was examined by classifying the contribution and role of subject A in the process of drawing conclusions of the report into upper, middle, and lower repor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ports of the contest winners, Type II, which raises a problem in subject A and seeks to find an answer in other paired subjects,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56%) of students. Also, subject A had the lowest proportion and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52%) of the students. Therefore, in the design of subject A in the future, first, instead of narrowing the scope of the theme covered by the subject, it is necessary that we deepen its contents. Through a meeting with professors in charge of major subjects and student presentations used in the award-winning lecture pairing reports, both learners and professors are given an opportunity to give feedback on the results of the report, giving professors an proposed to have a feedback process for self-directed convergence subject design. (I’m not sure if I understood this part, but did you mean: “This will give professors the necessary feedback which will help them in their process of designing a self-directed convergence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