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 평가전문성 제고를 위해 과정 중심 평가 전문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교사의 평가전문성과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적 정의를 기반으로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평가전문가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가 집단 회의를 실시하여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교육경력과 교과를 고려하여지원자 표집과 스노우볼 표집을 활용하여 315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Rasch의 문항적합도, 응답범주의 적절성, 문항곤란도를 검토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및 문항을 선정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Jmetrik, AMOS 22.0, SPSS 26.0이다. 결과 분석결과, 5요인의 모형적합도, 개념신뢰도, 판별타당도는 기준치를 상회하였으며, 5점 척도의 문항적합도, 범주확률곡선, 문항곤란도도 양호하였다. 최종적으로 ‘과정 중심 평가의 이해’, ‘과정 중심 평가 계획수립’, ‘과정 중심 평가 도구개발’, ‘과정 중심평가 실행’, ‘과정 줌심 평가 결과 해석 및 활용’ 5개의 능력 요인으로 구성된 16문항의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결론 교육부가 과정 중심 평가의 내실화 및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새로운 척도는 과정 중심 평가 운영에따른 교육성과 측정 도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중학교 교사가 과정 중심 평가전문성을 갖추는 데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여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나가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Process-based Assessement Scale for meddle school teachers' expertise to enhance the assessment competencey. Methods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scale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a theoretically grounded definition of teacher’s evaluation expertise and Process-based Assessment was refined and revis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ith middle school teache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A pilot test was conducted on samples of 315 middle school teachers to perform Rasch item fit, category probability curve, item difficul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statistical programs Jmetrik, AMOS 22.0, SPSS 26.0 were used. Results The result supporting the model fit, construct,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5 factors. And the item fit, categorical probability curve, and item difficulty on the five-point scale were also acceptable. Consequently, 16 items were derived with 5 factors: ‘understanding Process-based Assessment’, ‘establishment of Process-based Assessment plan’, ‘development of Process-based Assessment tool’, ‘execu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and ‘sharing and utilization of Process-based Assessment results’. Conclusions We discuss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 the aspect of the diffusion and substantialization of the policy, especially, as a tool for measuring educational performance outcomes follow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scale will be used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middle school teachers by identify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m to have Process-based Assessment expert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