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청국 상하이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기항지였던 일본 나가사키에 주목하여 이 지역과 관련된 인물들이 남긴 기록과공문서를 검토한다. 여기서 주목한 인물은 블라디보스토크 무역사무관 세와키 히사토(瀨脇壽人), 나가사키현령 기타시마 히데토모(北島秀朝), 조선 대리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이다. 세와키는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선박에서 당시 ‘송도’라고 불리던 울릉도를 목격하였다. 그는 무토 헤이가쿠 , 김인승과 교류하는 가운데 울릉도를 개척해야 한다는 생각을 굳히고, 외무경 데라지마 무네노리에게 지속적으로 개척을 건의하였다. 기타시마는 세와키와 연락을 주고받으며 ‘송도’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내무성에 ‘송도’ 개척을 문의하였다. 그가 구상한 ‘송도’ 개척 계획에는 나가사키현이 주도하여 개발 이익을 선점하려는 의도가 잘 드러나고 있다. 내무경 오쿠보 도시미치는 태정관지령을 시마네현에 통보하였다는 사실을 거론하며이, 렇게결정한 취지를 나가사키현도 잘 알고 마땅히 따라야 한다고 회답하였다. 태정관에서 자국의 판도를 정한 결정이 시마네현을 비롯하여 다른 지역에도적용된다는 사실을 내무경이 공문을 통해 지방관에게 확인해 준 문서란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나가사키에 들렀을 때 이 공문을 입수한 자는 당 시조선에 건너가 새로 개항장을 설정하는 교섭을 담당하였던 하나부사였다 . 내무성 결정사항이 담긴 공문을 외무성 관리가 바로 입수하였다는 점은 외무성 내에서도 이 내용을 공유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focuses on Nagasaki, Japan, which was a treaty port connecting Shanghai in Qing China and Vladivostok in Russia, and reviews the records and official documents left by people related to the region. Attention was paid to Sewaki Hisato (瀨脇壽人), Trade Officer of Vladivostok, Kitashima Hidetomo(北島秀朝), the governor of Nagasaki Prefecture (長崎縣令) and Hanabusa Yoshimoto(花房義質), Japanese Chargé d’affaires in Joseon. Sewaki witnessed Ulleungdo, then called “Matsushima(松島),” on a ship bound for Vladivostok. While interacting with Muto Heigaku(武藤平學) and Kim Inseung(金麟昇), he solidified the idea of pioneering Ulleungdo and continuously proposed his idea to the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Gaimusho), Terashima Munenori(寺島宗則). Kitashima contacted Sewaki and obtained information about Ulleungdo, and asked the Japanese Home Ministry(Naimusho) to develop the island. In his plan for developing “Matsushima,” the intention of Nagasaki Prefecture to preoccupy profits from the development is well shown. Okubo Toshimichi(大久保利通), the Home Minister, mentioned that he had notified Shimane Prefecture of the Taijokan (太政官)’s decision about the demarcation of boundarie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in 1877, and replied that Nagasaki Prefecture should follow the decision. It is important that the Japanese Home Minister confirmed to the local government in an official document that it had defined the country’s territorial boundaries to Shimane Prefecture and other regions. The person who obtained the document regarding Kitashima and Okubo when he stopped by Nagasaki was Hanabusa, who was in charge of negoti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treaty port after having crossed to Joseon at that time. The fact that an official document specifying the decision of the Home Ministry was immediately made available suggests that this information may had been shared withi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