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용 관련 온라인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 수용모델을 기반으로 경로모형검증을 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충청 지역의 미용 전공대학생이며, 최근 비대면 온라인수업에 대한 경험을떠올리며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2년 1월5일부터 3월 30일까지이며 45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특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기대일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되었으며, 사회적 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기술수용모델 변인 간의 영향 관계에서는 기대일치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대일치 요인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학업 지속 의도에 미치는 상대적영향력은 지각된 유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통해 대학생들의 비대면 온라인수업에 대한 기대일치과지각된 유용성은 만족과 학업 지속 의도를 상승하게 하는 중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시스템에 대한 기대 일치 여부는 학습자의 학습지 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다가올 교육에 관한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고 지속하는 과정을 개인적 특성과 수용모델 변인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학문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In this study, a path model verifi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t beauty college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n Seoul and Chung-Cheong, and they were asked to respond while recalling their recent experi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e survey period is from January 5 to March 30, 2022, and 454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21.0 and AMO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and social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xpected match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al characteristics was high.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cted match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The expected match fact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 and the relative influence on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showed high perceived usefulnes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expectations for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perceived usefulnes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increase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it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hether or not the expectations for the online system match influenced learner's learning continuity intention and academic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confirming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mode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