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미디어 문화연구의 틀로 대학입시 담론의 내용적 특성, 사회문화적 맥락에 근거한 전략, 수용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신문보도와 드라마 <스카이캐슬>의 내용분석, 수용자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신문에서는 수시와 정시 간 헤게모니 투쟁 양상을 보이는데 보수지는 점수 위주의 선발을 공정한 것으로 표명하며 수시와 정시의 대립을 기득권 유지와 정치쟁점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드라마 <스카이캐슬>은 대학입시의 전적인 책임 주체가 부모임을 대변하면서 극명한 신자유주의 질서를 가족신화로 쉽게 대체하는 방식으로 현실을 판타지화 한다. 수용자들은 드라마가 재현한 이상적 공교육의 단면을 문제시하고 빈익빈 부익부 세태를 비판하면서도 드라마 속 다양한 입시 전략과 적극적 실천 캐릭터에 대해서는 감정을 이입하고 동조하는 등 부모의 역할을 중심으로 드라마 내용을 전략 차원으로 적극적으로 의미화하면서 선별적 교섭 수용을 보였다. 대학입시 담론은 다양한 담론들이 저마다의 구심점을 이루며 존재하기 보다는, 수시와 정시, 불공정과 공정 등 대립된 담론들이 충돌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공정성 언표가 모든 갈등과 문제들을 해결할 열쇠처럼 사용되나 공정성을 둘러싼 인식과 개념이 서로 달라 실천 주체별 불연속성을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discourse on college admission in Korea and conducted an audience analysis in terms of sociocultural context. To do this, newspaper contents analysis, drama contents analysis, and audience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newspapers show a hegemony struggle between early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 The conservative newspaper describes the selection based on scores as fair, and conflict between early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 tended to be used as a tool for maintaining vested interests and political issues. The drama ‘Sky Castle’ represent that the entire responsibility subject for college entrance in Korea is parents and fantasyizes reality to easily replace the neoliberal order with family myths. Audiences judge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ideal public education in which the drama was presented, and criticized the situation such as deepening gap between rich and poor. At the same time, they actively meaning the drama’s contents in a strategic dimension, focusing on their parent roles, such as sympathizing with various admission methods and active characters in the drama, and conducted selective negotiating reading. In college admission discourse, confrontational discourses such as early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 unfairness and fairness are collide, and fairness statements are used as keys to solving all conflicts and problems, but their perceptions and concepts are different, showing discontinuous practice of dis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