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그래픽 노블에 대한 독일어권 연구계, 문화계 및 출판계 동향 및 사회적 인식을 소개하고, 그래픽 노블 개념의 복합적 함의와 문학과의 관계, 매체적 혼종성과 고유한 서사성을 조명한다. 현재 통용되고 있는 그래픽 노블의 개념과 그 복합적 함의를 전제로 본고는 질적·미학적 가치평가를 배제한 매체적·기호학적 관점에서 그래픽 노블의 매체적 혼종성과 서사성에 대해 접근한다. ‘그래픽 Graphic’과 ‘소설 Novel’, 이미지와 언어, 미술과 문학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그래픽노블은 매체적 혼종성을 지닌다. 그래픽 노블의 서사는 문자를 매개로 한 텍스트의 의미생성과정과 구분되며 문자 텍스트-이미지의 다양한 관계 및 이미지의 연속을 통해 형성된다. 이러한혼종적 매체로서 그래픽 노블의 서사성에 대해 본고는 레싱의 라오콘 Laokoon(1766)에 제시된 문학과 조형미술의 경계설정과 미학적 근거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는 레싱이 구분한 ‘시간예술’과 ‘공간예술’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 그래픽 노블의 혼종성에 대한 매체적 분석인 한편, 탈문화위계적 관점에서 문자 중심주의, 이미지에 대한 문자의 우월성이라는 관념 형성과정에 대한역추적이라 할 수 있다. 현시대 문학과 그래픽 노블의 상호적·확장적 관계성은 과거 레싱이라오콘에서 문학과 조형미술 간의 경계구획을 통해 문학의 우위를 입증하고자 했던 시도와 정반대의 현상을 보여준다. ‘시각적 서사, 시각적 스토리텔링’으로서 그래픽 노블은 언어와 구분되는 이미지의 함축성을 통해 새로운 실험적 서사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Die Graphic Novel als ‘visual narrative’, ‘visual storytelling’ hat sich als eine neue Erzählform mittels Bildsequenzen und Bild-Text-Kombinationen etabliert; in der Literaturwissenschaft entstand zu dieser eigenen Narrativität ein interdisziplinäres Forschungsfeld.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 soziale Wahrnehmung und die Rezeption der Graphic Novel als gegenwärtige kulturelle Phänomene im deutschsprachigen Raum vorgestellt. Zudem wird die mediale und narrative Komplexität des Verhältnisses von Graphic Novel und Literatur behandelt. Der erste Teil widmet sich schwerpunktmäßig der Produktion und Distribution der modernen Graphic Novel im Literaturbetrieb und der aktuellen Forschung im deutschsprachigen Raum. Im zweiten Teil soll die mediale Hybridität der Graphic Novel und deren Verhältnis zur Literatur durch Rekurs auf die ästhetische Reflexion über Medialität und Grenzsetzung von Literatur und bildender Kunst in Lessings Laokoon und den Begriff ‘Literatur in Bildern’ von Töpffer analysiert we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