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의 외생변인으로 비대면 수업 교육서비스 품질을 적용하여 기술수용과 몰입, 지속수강의도의 관계를 검증했다. 이에 계속학습자인 특수대학원생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도록 기초자료의 역할을 하는 것이 연구의 목표이다. 선행연구와 이론과 모델을 토대로 <연구문제>, <가설>을 상정하였고 온라인 설문 조사를 했다. 통계분석은 AMOS 27.0로 구조방정식으로 측정모델 검증과 경로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대학원 비대면 수업 교육서비스 품질은 확신성>반응성>유형성(-)>전문성이 인지된 용이성과의 관계를 지녔다. 둘째, 인지된 유용성은 유형성>신뢰성>반응성>전문성(-)이 관계를 지녔다. 셋째, 기술수용모델의 인지된 용이성이 몰입과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인지된 용이성은 유용성에 영향을 미쳤고 다섯째, 인지된 유용성은 지속수강의도에 매우 큰 영향력을 보인 반면 몰입은 영향력이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급자 관점이 아닌 수요자인 특수대학원생의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대학원 비대면 수업의 만족스러운 운영 환경조성과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의 실무적 역할을 다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 education service quality, flow, and continued course intention by applying the non-face-to-face clas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N=336). For statistical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AMOS 27.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ease of use had relationship between certainty>responsiveness>tangibles(-)>professionalism. Seco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relationship between tangibles>reliability>responsiveness>professionalism(-). Third, perceived ease showed a relationship with flow. Fourth, perceived ease had an effect on usefulness. Fifth, usefulness had a very large effect on continued course intention. but had no effect on flow. This study fulfill a practical role of fundamental of research in creating a satisfactory operating environment and establishing strategies for non-face-to-face classes in special graduate school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