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A대학교의 강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수업 질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하여 Kirkpatrick의 4단계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후 설문, 강의 개선 전략, 강의평가 등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대부분 교수법 개선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었으며, 교수법에 대해서도 도움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가자들은 개선안을 바탕으로 수업의 변화를 위한 의지도 보여주었다. 그리고 강의평가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 참여 효과 평가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수업 향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수업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monitoring program in the A university and to investigate teaching improvement support plans in the post-COVID-19 era.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earchers used the Kirkpatrick model and analyzed participants’ survey, teaching improvement strategies, and course evalu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support for teaching strategies. Also,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eir plans for changes in their courses based on the consultation. The researchers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from course evaluation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monitoring program that have implications for teaching improvement in the post-COVID-19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