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불평등과 계층이동을 살펴보기 위해, 불평등 순환모델(OED)모형에 따라 경제, 교육, 미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의 학생 379명을 편의표집하였다. OED모형에 따라 경제(소득분위, 용돈, 현재 SES, 부모의 SES), 교육(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미래(미래직업 성공인식, 미래SES)의 변인을 선정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제불평등은 교육불평등을 예측하지 않았다. 미래직업성공인식에는 교육불평등요인, 미래SES는 현재SES가 예측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모세대의 SES보다 미래 본인의 SES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세대내 이동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inequality and class mobili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elected economic, educational, and future variables based inequality cycle model (OED), and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detail. For this purpose, a convenience sampling of 379 students from university A was conducted. Economy (income, pocket money, present SES, parent SES), education (career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online self-regulated learning), future (recognition of future job success, future SES) variables were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confirmed. As a result, first, the economic factors did not predict the educational factors. but all educational variables affect future job success and family SES affects future SES. Second, with regard to the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future SES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than current SES. Also, the movement within generations was perceived positive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