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대가 학업중단청소년의 우울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 5차(2017)년도 자료에서 학업중단 경험이 있는 총 315명을 분석대상으로 선별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AMOS 18.0의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핵심적인 분석방법으로 응용하였으며, Sobel test로서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제시된 연구방법으로 다음의 연구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부모 학대가 학업중단청소년의 우울을 설명하는 직접경로의 효과성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낙인감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학업중단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킬 실천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 stigma in direct path which the child abuse by parent have affected to the depression of school dropout adolescent. For attaining this purpose, this study have selected a total of 315 cases with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as an analysis target from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 Youths (PSSDY) 5th (Years of 2017) data. So this study have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AMOS 18.0 as main analysis method, and sobel test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As above analysis method, this study have calculate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 First, this study failed to prove the direct effect that the child abuse by parent have affected to the depression of school dropout adolescent. Second, this study have demonst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and the social stigma. Through this analysis result, this study have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 about the depression of school dropout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y.